[사설] 북한은 고집 부리지 말고 코로나19 방역 지원받아야

[사설] 북한은 고집 부리지 말고 코로나19 방역 지원받아야

입력 2020-04-05 23:52
수정 2020-04-06 03: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은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종식될 때까지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유지한다고 지난 3일 관영매체가 보도했다. 북한은 1월 말 북중 국경을 봉쇄하는 등 철저한 입국 제한에 들어갔고, 같은 시기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선포한 뒤 중앙·지방에 방역지휘부를 꾸려 조직적 대응을 해 왔다. 북한은 지금까지 코로나19 감염자가 단 1명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북한의 주장에 현실성이 없다고 본다.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은 현지시간 2일 “우리 정보에 따르면 북한 주장은 불가능하다”면서 “2월과 3월 초 30일간 북한군의 발이 묶였다”는 사례를 꼽았다. 500여명이 격리 중이라고 북한 매체가 보도했는데 이들이 어떤 이유로 격리됐는지는 불명확하다. 코로나19의 발열, 호흡곤란 등의 증세를 보이는 것 아닌가 추정된다. 북한 방역체계는 비교적 잘 갖춰져 있으나 방역의 질적 수준은 세계 최하위이다.

국제사회가 북한에 감염자가 있다고 보는 근거는 국경 봉쇄 전 북중 접경지역을 오간 북한 주민과 중국인이 적지 않았으며 봉쇄 이후에도 밀무역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북한은 사스와 메르스 때도 감염자가 없다고 주장하는 등 내부 결속이 필요할 때는 정보 공개를 꺼리는 경향을 보였다. 북미 협상에 실패한 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올해 자력갱생을 통한 정면돌파를 선언했으나 코로나19라는 불의의 복병을 만났다.

북한 주장을 100% 믿더라도 바이러스에는 국경이 없다. 빠른 검사를 병행해 방역을 철저히 하는 것 외에 방법은 없다. 그런데도 세계보건기구(WHO) 등의 방역물품 북한 반입에 혼선이 있었고 스위스 지원은 모니터링 요원의 부재로 연기됐다. 남한과 미국의 대북방역 제안에도 일절 반응이 없다. 북한은 유럽과 미국의 사태를 보고 있을 것이다. 고집 피우지 말고 국제적 지원을 수용해 방역 수준을 높이기를 바란다.

2020-04-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