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료진 감염과 피로누적 개선할 장기대책 마련하라

[사설] 의료진 감염과 피로누적 개선할 장기대책 마련하라

입력 2020-03-30 21:46
수정 2020-03-31 02: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로나19에 감염된 대구 지역 의료진이 지난 24일 0시 기준 의사 14명, 간호사 56명, 간호조무사 51명 등 총 121명으로 조사됐다. 위중 환자와 중증 환자도 각각 1명이 포함됐다. 감염 의료진의 36.4%인 44명은 신천지 신도여서 의료활동과 무관하게 감염됐을 수도 있겠으나 감염 경로가 명확하지 않아 섣불리 예단할 수는 없다. 대구의 전체 의료진이 2100여명인 점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비율(5.8%)이 의료기관이나 지역사회에서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돼 우려가 크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어제 “대구 현장에서 헌신해 온 의료진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분들이 우려될 만큼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면서 “의료진은 어떤 상황에서도 가장 먼저 보호돼야 한다”고 거론한 것은 시의적절했다.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와 맞물려 의료진의 감염 위험이 증가하거나 피로가 누적되면 자칫 의료시스템 붕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최일선에서 사투를 벌이는 의료진은 그만큼 감염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이다. 지난 1월 20일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70일이 넘으면서 의료진의 피로가 쌓이고 있다는 우려도 크다. 백경란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이 지난 26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올린 “의료진도 지쳤다”는 글을 허투루 들어서는 안 된다. 지난 22일부터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되고 있지만 어제까지 하루 평균 101.1명의 확진자가 발생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의료진은 당연히 최우선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대구는 확진자 6624명 중 완치자가 58%를 넘어선 만큼 의료진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근무시간 등을 조정해야 한다. 개인보호장비 지급 등에 허점이 없도록 재점검할 필요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예우를 충분히 하겠다고 했음에도, 최근 대구의 한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에게 지급해야 할 위험수당을 당초 약속과 달리 깎아서 논란이었다. 중앙정부는 대구 의료진의 사기를 꺾는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파견기관마다 각기 다른 수당체계를 속히 개선해야 한다.

2020-03-3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