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전쟁의 언어, 소통의 언어

[이경우의 언파만파] 전쟁의 언어, 소통의 언어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1-12 23:34
업데이트 2020-01-13 0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가락지~.”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의 주인공 여일에게 수류탄의 안전핀은 ‘가락지’다. 해맑은 미소를 보이며 그 ‘가락지’에 너무도 자연스럽게 손을 댄다. 국군, 인민군, 연합군 간 긴장감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는다. 소박하고 순수함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믿는다. 군인들은 잔뜩 얼어 있지만, 천하태평하게 마음 가는 대로 어디든 돌아다닌다. 그래서 얼굴에 빗물이 흐르는 채로 서 있는 인민군의 얼굴을 편하게 닦아 줄 수 있다. 순간적이지만 인민군은 긴장이 풀리고 ‘가락지’를 뽑아도 반응할 틈도 의욕도 보이지 않는다. 다만 지켜볼 뿐이다. 그사이 긴장감은 더 팽팽해지고 곧 터지고 만다. “펑” 소리와 함께.

그런데 그것은 전쟁이 아니라 평화의 소리, 언어였다. 불발탄이라 여겨졌던 수류탄은 “펑” 소리를 내며 온 마을에 ‘팝콘’을 눈처럼 내리게 한다. ‘펑’은 극에 달했던 긴장을 풀라는 신호처럼 작용했다. 군인들은 마을 사람들과 함께하기 시작했고, 마음을 조금씩 열어 나갔다. 여일이와 마을 사람들이 보인 따듯한 인간미와 화해의 마음이 전달된 것이다.

현실로 돌아오면 허풍이나 거짓말을 뜻하는 ‘뻥’도 ‘팝콘’처럼 의미를 만들어 갔다. 한때 전통시장의 뻥튀기 기계는 그곳이 시장임을 알리는 상징이었다. 왁자지껄한 시장 바닥을 큰 소리로 일시에 덮어 버렸었다. “뻥” 하며 뻥튀기 기계를 요란하게 빠져나온 옥수수 낟알들은 한껏 커지며 달콤하고 구수한 강냉이를 내놓았다. 여기에 먹을거리에서 그치지 않고 장터의 인심까지 담은 말들까지 전했다. 그렇지만 소리와 함께 커지게 한다는 속성 때문에 ‘뻥’은 ‘과장’의 의미가 담겨 ‘허풍’이 되고 ‘거짓말’이란 말이 됐다. 그래도 ‘허풍’이나 ‘거짓말’처럼 정색하지 않은 말이어서 그리 밉게 보이지 않는다.

언어에 관해서도 일가견 있는 의견을 내놓은 장자도 이런 ‘뻥’을 섞는 데 달인이었다. 북쪽 바다에 사는 물고기 둘레가 몇천 리라고 하고, 그 물고기가 변한 새 ‘붕’은 등이 또 몇천 리가 넘는다며 얘기를 풀어 나간다. 또 잉어와 이야기를 주고받기도 했다고 ‘뻥’을 치기도 한다. 그러나 그 속에 일상을 꿰뚫는 지혜를 전하고 있기에 ‘뻥’이라고 하지 않는다.

‘웰컴 투 동막골’의 주인공들이 내놓은 ‘펑’ 소리처럼 시원하게 막힌 곳을 뚫어 주는 ‘뻥’이었다. 장자는 소리를 퉁소에 빗대어 말했다. 그 가운데 추구해야 하는 건 하늘의 퉁소 소리였다. 곧 마음으로 내고 듣는 소리다. 여일이의 ‘가락지’에서 비롯된 ‘펑’ 소리 같다.

wlee@seoul.co.kr
2020-01-13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