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경 서울 은평구청장
지난달 초 서울 은평구청 강당에서 열린 ‘은평 문해 한마당’에 전시된 칠순 넘은 할머니의 이 시는 실감 나는 감정 표현으로 공감을 이끌어내고 읽는 이들의 코끝을 시리게 했다. 문해 한마당에 참여한 어르신들은 직접 적은 일기나 시, 체험 수기 등을 발표하며 함께 울고 웃는 감동의 시간을 가졌다.
1945년 ‘국가는 교육의 기회가 모든 사람에게 충분하고 평등하게 주어져야 한다고 믿는다’는 ‘유네스코 헌장’이 발표됐다. 이 중 유네스코가 특히 중요하게 본 것은 문해다. 문해란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일이나 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넓게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의 모든 영역이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1978년 유네스코는 기초 문맹에서 더 나아가 기능적인 문해 능력을 갖출 것을 강조했다. 오늘날 정보·금융 분야에서 생활 문해교육과 평생교육 시스템은 중요한 영역이다.
구·시의원 시절부터 엘리트 교육이 아닌 평생시민교육이 필요하다고 절감했다. 이에 따라 은평구에서는 민선 7기 조직 개편을 시행하면서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시민교육과’를 신설했다. 지역사회와 아동·청소년부터 어르신까지 전 생애를 포괄하는 행정적인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은평의 교육은 평생 시민교육인 은평시민대학을 통해 이뤄진다. ‘내 삶의 변화, 동네에서 답을 찾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28개 기관, 시민단체와 함께 운영하고 있다. 문해교육도 이와 함께 활발히 열리고 있다.
은평시민대학은 세부 주제별 캠퍼스로 운영하는 ‘질문하는 학교’, 세대별, 대상별 맞춤학습을 연구하는 ‘인생수업’, 시민들이 직접 의제를 발굴하는 ‘다빈치 실험실’ 등 다채로운 커리큘럼을 진행한다. 공동체 학습 활동을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풍성한 열매를 맺어 지난 10월 은평시민대학은 제16회 대한민국 평생학습 분야에서 대상을 받기도 했다.
‘나는 시인이 되고 싶은 할머니. 글자를 배우니 덤으로 지혜를 배운다.’ 문해교육을 받은 한 어르신이 쓴 글이다. 인생의 지혜는 평생 배우는 데서 샘솟는다. 이런 시민주도형 평생학습을 뒷받침하는 일이 복지 행정의 첫걸음이다.
2019-12-02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