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소리와 침묵의 세계 사이… 경계인의 삶, 코다입니다

소리와 침묵의 세계 사이… 경계인의 삶, 코다입니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9-11-28 22:42
업데이트 2019-11-29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는 코다입니다/이길보라·이현화·황지성 지음/교양인/394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농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청인 자녀인 코다의 시선으로 담아낸 이길보라 감독의 자전적 다큐 영화 ‘반짝이는 박수 소리’의 한 장면. ‘우리는 코다입니다’의 공동 저자인 그는 “엄마, 아빠의 세계는 결여의 의미가 담긴 장애가 아니라 또 다른 언어로 소통하는, 그저 또 다른 형태의 세상”이라고 말한다.
농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청인 자녀인 코다의 시선으로 담아낸 이길보라 감독의 자전적 다큐 영화 ‘반짝이는 박수 소리’의 한 장면. ‘우리는 코다입니다’의 공동 저자인 그는 “엄마, 아빠의 세계는 결여의 의미가 담긴 장애가 아니라 또 다른 언어로 소통하는, 그저 또 다른 형태의 세상”이라고 말한다.
지하철 안에서 젊은이 서너 명이 소리 없이 대화를 나누는 걸 본 적이 있다. 처음엔 조용한 실내라 다른 승객들을 배려해 일부러 말소리를 내지 않고 서로 장난치듯 손짓과 표정으로 의사 교환을 하는 줄 알았다. 그러다 불현듯 뒤통수가 뜨거워졌다. 쉴 새 없이 바삐 움직이는 손, 희로애락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얼굴.

청각장애로 음성언어 소통이 어려운 농인(聾人)의 수화를 느닷없이 맞닥뜨렸을 때 느낀 첫 감정은 부끄러움이었다. 그들의 정체성을 바로 인식하지 못한 무심함이 민망했다. 그러나 곧 놀라움이 부끄러움을 압도했다. 그들이 나누는 수어에서 뿜어져 나오는 활기가 마치 소리처럼 귀로 전달되는 착각이 들었다. 침묵이 이토록 소란스럽고, 찬란할 수 있다니. 오래도록 잊지 못할 경험이었다.

●농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청인 자녀 ‘코다’

이 세상에는 귀로 소리를 듣고, 입으로 말하는 다수의 청인(人)과 눈으로 소리를 보고, 손으로 말하는 소수의 농인이 있다. 다수는 늘 힘이 세다. 농인뿐 아니라 거의 모든 장애인이 소수자라는 프레임 안에서 소외되기 일쑤다. 다수의 세상에선 소수의 불편을 불행과 등치시키고, 배려와 배제를 제멋대로 뒤섞는다. 사회적 차별과 편견의 벽은 아직도 견고하기만 하다.

그리고 여기, 건널 수 없는 강처럼 단절된 소리의 세계와 침묵의 세계 사이에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경계인의 삶이 있다. 농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청인 자녀 ‘코다’(CODA·Children Of Deaf Adults)다. 옹알이를 수어로 시작하는 코다는 말문이 트일 때부터 부모의 귀와 입을 대신하는 통역사가 돼야 한다. 농세계와 청세계, 농문화와 청문화를 넘나들어야 하는 이들의 삶이 부모 못지않게 녹록지 않으리란 건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우리는 코다입니다’는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이길보라, 수어 통역사이자 언어학 연구자인 이현화, 장애인 인권활동가이자 여성학 연구자인 황지성이 자신들의 내밀한 경험을 바탕으로 코다의 존재와 정체성을 가감 없이 드러내면서 다수의 세상을 향해 공감과 연대의 손길을 내미는 책이다. 세 사람은 국내 유일의 코다 단체인 ‘코다 코리아’를 이끌고 있다.
이미지 확대
●수화언어와 음성언어 … 차별과 편견의 벽

농인 부모와 코다인 자신의 삶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반짝이는 박수 소리’(2015)로 국내외에서 주목받은 이길보라는 “내가 바라본 엄마, 아빠의 세상은 너무나 반짝였지만 그것을 설명하기에는 두 세상의 언어가 확연히 달랐다. 시각을 기반으로 한 수화언어와 청각을 기반으로 한 음성언어 사이에는 언어와 문화의 차이뿐만 아니라 차별과 편견의 벽이 존재했다. 그래서 그 둘을 오가는 일은 고단했고, 종종 외로웠다”고 썼다. 이현화는 농인에게 한국어는 외국어와 같아서 어릴 때 부모님이 가정통신문을 읽고 적절한 준비물을 해 주는 것이 쉽지 않았다고 고백한다. “나는 부모님에게 만능 통역사이자 청인의 세상으로 연결되는 문이었다”는 그는 국립국어원에서 ‘한국수어사전’ 편찬 일을 하고 있다. 수어를 배우지 못해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하는 ‘홈사인’이나 감정을 드러내는 발성인 ‘데프 보이스’를 사용하는 아버지를 부끄러워했던 황지성은 장애인에게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비정상과 불능의 틀을 깨고자 소수의 이야기에 더욱 귀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세 명의 저자를 각성시킨 주요 계기는 해외 코다 단체와의 교류다. ‘코다는 농부모를 둔 청인의 고유한 유산과 다문화적 정체성을 축복합니다’. 코다 인터내셔널 홈페이지 첫 화면에 걸린 문구다. 이들은 코다라는 존재의 다름이 차별이나 편견의 요인이 아닌 사회를 풍부하게 하는 다양성으로 받아들여지는 세상을 꿈꾸고 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19-11-29 3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