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베가 文면상을…” 한국콜마 회장, ‘막말’ 유튜버 영상 강제시청 왜

“아베가 文면상을…” 한국콜마 회장, ‘막말’ 유튜버 영상 강제시청 왜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9-08-09 00:37
업데이트 2019-08-09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원조회서 극보수 유튜버 영상 틀어…“여성 비하 발언도 담겨”

회사 측 “한일관계 냉정하게 봐야 취지”
“유튜버에 동조해 영상 튼 건 아니다”
사내 비판 글 게재…회사 홈페이지 마비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 JTBC 뉴스 화면 캡처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이 직원들과의 월례조회에서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악화된 한·일 관계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를 비판한 한 보수 유튜버의 ‘막말’ 영상을 상영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직원들은 해당 영상에 여성 비하 발언까지 담겨 있다고 증언하며 강제시청에 대한 불쾌감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8일 한국콜마 직원들에 따르면 이 영상은 지난 7일 서울 내곡동 신사옥에서 열린 월례조회에서 윤동한 회장이 임직원들에게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공개됐다.

윤 회장은 임직원 700여명이 의무적으로 참석한 조회에서 “다 같이 한번 생각해보자”며 영상을 틀었다고 직원들이 전했다.

이 영상에는 극보수 성향 유튜버가 문재인 정부의 대(對)일본 대응을 비난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 속 유튜버는 “아베는 문재인 면상을 주먹으로 치지 않은 것만 해도 너무나 대단한 지도자”, “김정은하고는 케이크를 또 잘만 X먹었다. 그 XX을 떨먼서도 한·일 관계가 최악” 등 막말에 가까운 문제성 발언이 포함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유튜버의 발언에서는 많은 비속어도 등장했다고 직원들은 말했다.

또 영상에서는 “베네수엘라의 여자들은 단돈 7달러에 몸을 팔고 있고, 곧 우리나라도 그 꼴이 날 것”이라는 여성 비하 발언도 있었다고 일부 직원은 전했다.
한국콜마 회장, 보수 유튜버 영상 강제시청 논란
한국콜마 회장, 보수 유튜버 영상 강제시청 논란 JTBC 뉴스 캡처


조회 후 사내 익명게시판에는 ‘한국콜마 보수채널 유튜브 강제시청’이라는 제목으로 “윤 회장이 한 유튜버의 보수 채널을 강제 시청하게 했고, 저급한 어투와 비속어, 여성에 대한 극단적 비하가 아주 불쾌했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당시 현장에 있던 직원들은 “수백 명이 모인 자리에서 이런 동영상을 틀었다는 것 자체가 충격이었고, 불편했다”면서 “‘화이트리스트로 일본 원료약 수입에 대한 부담 때문에 이런 얘기를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국콜마는 윤 회장이 국가 간 관계에서 이 유튜버와 같은 극단적 대응을 자제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영상을 틀었다고 해명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화장품업계 상황이 전반적으로 안 좋은 상황에서 일본 수출규제까지 덮치자 이 유튜버처럼 감정적 대응을 해서는 위기를 헤쳐나갈 수 없다는 의미에서 영상을 튼 것”이라면서 “그 유튜버 생각에 동조해서 영상을 튼 것이 절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한번 생각해보자’는 말도 그런 의미에서 나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콜마 측은 “한일 관계를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취지라고 말했다고 JTBC는 전했다.

현재 한국콜마의 회사 홈페이지는 마비된 상태다. 한국콜마는 유명 화장품 브랜드에 제품과 원료를 제공하는 회사로, 상당한 기술력을 인정받는 업체로 알려져 있다.
한국콜마 회장, 보수 유튜버 영상 강제시청 논란
한국콜마 회장, 보수 유튜버 영상 강제시청 논란 9일 한국콜마 윤동한 회장의 유튜버 동영상 강제시청 논란 확산 이후 마비돼 버린 한국콜마 홈페이지.
한국콜마 홈페이지 캡처. 2019.08.09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