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해빙’ 누가 꺼리는가/송한수 부국장·사회2부장

[서울광장] ‘해빙’ 누가 꺼리는가/송한수 부국장·사회2부장

입력 2019-01-31 22:16
업데이트 2019-02-01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송한수 부국장·사회2부장
송한수 부국장·사회2부장
이제 벌써 2월이다. 한껏 위세를 떨치던 추위가 한결 누그러졌다.

요즈음 같아선 제법 견딜 만하지 않은가. 개천 얼음장이 사르르 꺼질 무렵이다. 새싹이 땅 밑에선 파릇파릇 자랄 것이다. 사흘 뒤면 입춘이다. 곧 해빙기를 만나게 된다. 인간사 반길 일이다. 움츠린 몸이 기지개를 켤 테니 그렇다.

하루도 빠지지 않는 꼭 30년 전이다. 1989년 2월 1일 대사건이 터졌다. TV 앞에서 대한민국 온 국민이 두 눈을 치뜨고 귀를 세웠다. 헝가리와 국교를 맺었다는 깜짝 발표가 넋을 뺐다. 꿈에서도 “설마” 혀를 찰 노릇이었다. 불구대천(不俱戴天)이라 했다. 입에도 올리지 말라던 인민공화국이란 이름을 단, 공산주의 국가를 친구로 받아들인 셈이다. 모름지기 동구권에 닥친 개혁·개방 바람 영향이 컸다.

당시 육군사관학교 출신 제13대 대통령 노태우는 이른바 북방외교에 몸부림을 치고 있었다. 들불처럼 번지는 통일 논의를 거스를 순 없었다. 거센 파도에 밀린 것이다. 따라서 분명 한계를 보였다. 민간엔 그다지 숨통을 틔우지 못했다. 아쉽다. 아무튼 의미는 간단치 않았다. 꿈쩍도 않으리라던 장벽 하나가 사라졌으니 말이다. 이념 해빙기 시작을 알리는 순간이었다.

지금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어떤 진척을 이룰지 지구촌에서 눈길을 보낸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언제 어디에서 만날 것인지 곧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서로 친서를 받으며 ‘완전’ 만족했다고 외신들은 잇달아 보도한 터다.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이뤄진 첫 만남 자체만으로 두 지도자는 성과를 일궜다. 역시 같은 하늘을 이고 살지 못한다는 ‘불구대천’ 형국에서였다. 70여년이나 서로를 최대 적대국으로 겨냥하지 않았던가.

그러더니 역사에 아름다운 발자취를 남겼다. 6·25전쟁을 끝낸 게 아니라 그냥 멈췄을 뿐인 정전협정 당사국으로서 불신을 조금씩 거둬들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서다. 더없이 반갑다. 박수를 받을 만하다.

저마다 핵 사용을 자제하려는 뜻도 읽을 수 있었다. 눈앞에 다가온 2차 정상회담에선 경과를 점검하고 구체화하는 절차를 밟을 순서다. 시계를 거꾸로 되돌릴 수 없듯 정상 사이에 신뢰는 쌓일 것이다. 나아가 남북 사이에도 평화를 다지는 시간이다.

물론 아직 예단하기는 금물이지만, 두 정권이나 세계를 위해서도 좋다. 이익에 부합하는 길이다. 쌍방향 핵무기에 따른 ‘공포의 균형’을 ‘평화의 균형’으로 재연출하기를 국제사회는 조용히 기다리고 있다. 희망을 품었다. 남북 문제와도 맞닿은 큰 문제라 우리들에겐 더욱 그렇다.

다시 이야기를 30년 전 오늘 한반도로 돌린다. 공산권 첫 외교 관계 수립과 더불어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을 빼놓을 수 없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기억해야 할 역사다. 국회 비준을 받아 국가 방안으로 공식화하기에 이른다.

당시 집권 민주정의당이 오늘날 자유한국당의 전신이다. 새삼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한참을 잊고 있었던 사실이다. 남북 화해를 놓고 갈라진 지금 그들과 후예들은 어디에 있는가를 따질 차례다.

그러면서도 국가 통일 방안은 이후 30년을 거치는 사이에도 달라지지 않았다. 정권은 바뀌고 또 바뀌었지만, 남북 평화를 향한 집념은 끊기지 않았다는 방증이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6년 개성공단 폐쇄는 이를 해친 행위였다. 1단계 화해협력, 2단계 남북연합, 마지막 3단계 완전통일이라는 긴 여정에 어렵사리 내디딘 발을 묶었기 때문이다.

개성공단은 남북 첫 평화 합작품으로 기록된다. 작지 않은 ‘남북 동거 도시’를 일궜기 때문이다. 분단 이래 처음이다. 북측 노동자 5만 5000여명과 남측 주재원을 합쳐 6만여명이 어우러져 기쁨을 나눴다. 2008년부터 누적 생산량은 32억 달러를 웃돌았다.

처음엔 서로 다른 문화 때문에 마찰도 더러 빚었지만, 부모님이나 자식 등 가족 소식과 일에 얽힌 대화로 실타래를 풀 수 있었다. 여기에 참여했던 우리 기업인들은 최고 평화구역으로 손꼽곤 한다.

인간사에 얼어붙었다면 녹여야만 옳다. 헤어졌다면 만나야 한다. 더구나 겨우 이어진 길을 다시 끊어선 안 된다. 서로를 몰라 생기는 오해가 있다면 노력해 풀어야 한다. ‘다름’을 ‘틀림’으로 여겨서도 아주 곤란하다. 너무나 다른 결과를 빚을 게 뻔하다. 어느 학자는 ‘북맹’(北盲)에서 탈출하자고 외친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응원한다.

onekor@seoul.co.kr
2019-02-01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