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윤순영 야생조류보호협 이사장, “국내 최대 월동지 한강하구서 재두루미 사라져간다”

윤순영 야생조류보호협 이사장, “국내 최대 월동지 한강하구서 재두루미 사라져간다”

이명선 기자
입력 2019-01-28 11:17
업데이트 2019-01-28 1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련 지자체와 환경부, 한강하구 일대 보호대책 적극 수립해야” 주문

이미지 확대
김포 홍도평야를 찾아온 재두루미들이 먹이를 찾고 있다.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제공
김포 홍도평야를 찾아온 재두루미들이 먹이를 찾고 있다.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제공
“재두루미 보존방안을 현장전문가와 함께 협의해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은 80년대 초 한강하구는 겨울철 우리나라 최대의 재두루미 월동지였는데 이젠 강원도나 일본으로 떠나버리고 겨우 10여마리만 찾아온다며 안타까워 했다.

야생조류협회는 한강하구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주요 종을 관찰해 오고 있다. 한강하구 일대 재두루미의 주요 먹이터는 북변동 홍도평야와 고촌읍 태리·평리 평야로 한때 3000여마리까지 찾아왔다.

재두루미는 잠자리와 먹이터가 나뉘어져 있어, 습성상 먹이터와 잠자리 거리가 4㎞ 이상 벗어나면 안 된다고 한다.

한강하구 일대 잇따른 개발사업과 농경지 매립으로 재두루미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특히 경인아라뱃길 사업이 주범으로 급격한 생태변화를 초래했다. 재두루미는 1980년대 초 3000마리에서 2011년 23마리, 다음해 15마리, 그다음해 12마리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는 겨우 10마리가 찾아왔다.

윤 회장은 28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김포 후평리에서 재두루미 보존사업을 하는데 그쪽으로 재두루미가 가지 않는다”며, “용역비로 해마다 3억원씩 10년간 투자하고 있으나 용역주체가 매년 바뀌다보니 사업의 연속성이 없다. 귀소본능을 이용해서 재두루미가 오는 데로 유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1992년 김포 홍도평야에서 처음 재두루미 7마리가 관찰된 이후 2001년 120마리가 찾아왔다. 이후 한강하구 갯벌 농경지 개간사업으로 환경이 훼손되자 재두루미·흑두루미들이 김포일대를 떠나기 시작했다”며, “이 새들이 강원 철원과 경기 연천 등 민통선으로 월동지역을 옮겨갔고 이젠 일본 가고시마 이즈미까지 이동해 국내환경이 얼마나 열악한지를 보여주는 부끄러운 사례”라고 덧붙였다. 최근 일본으로 1200마리 가량이 옮겨갔다는 것이다.

재두루미 보호대책으로 먹이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회장은 “장항습지는 버드나무군락으로 사실 습지가 아니다. 현재 농경지가 있는데 벼농사 수확을 전부 하지 말고 일부 농지를 재두루미 먹이터로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재두루미의 잠자리인 장항습지 개방으로 재두루미의 겨울나기는 더욱 힘들어졌다”며, “관련 지자체와 환경부는 한강하구 일대 보호대책을 하루빨리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머지않아 한강하구에서 재두루미를 볼 수 없는 환경위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염려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