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문턱 넘어도 취업 문턱 못 넘어…장애 학생의 눈물

대학 문턱 넘어도 취업 문턱 못 넘어…장애 학생의 눈물

유대근 기자
유대근 기자
입력 2018-02-13 21:14
업데이트 2018-02-14 09: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10명 중 3명만 취업 성공

비장애인의 절반… 계속 감소
“기업 요구와 지원 괴리 크다”


지체장애를 앓고 있는 A(26)씨는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겠다는 목표로 관련 학과에 어렵게 진학해 좋은 성적으로 졸업했다. 대형 게임업체에 수습으로 합격한 A씨는 한 달 만에 스스로 회사를 나왔다. 휠체어를 탄 A씨를 동료들이 외면하고 따돌렸기 때문이다. A씨는 “우리나라 대기업 문화에서 장애를 가진 직원이 조직에 융화하기란 아직까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이미지 확대
장애 학생들의 대학 진학률은 해마다 늘고 있지만 이들 10명 중 3명만 졸업 뒤 가까스로 취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렵게 취업하더라도 직장 내 차별 등으로 퇴사하는 경우도 부지기수였다. 꽁꽁 얼어붙은 고용시장이 사회 소수자인 장애 학생들에게 더 가혹하다는 이야기다.

서울신문이 13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동섭 바른미래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교육부의 ‘장애 대학생의 취업 실태 분석 및 관련 정책 방향 도출’ 연구에 따르면 국내 401개 대학에 다니는 전체 장애인의 2017년 취업률은 35.3%에 불과했다. 4년제 대졸자 취업률(2016년 기준)이 67.7%인 것에 비하면 크게 낮았다. 장애인 대학생 취업률은 2015년 42.4%, 2016년 45.3%에서 2017년 30%대로 크게 떨어졌다.

반면 장애인 학생들의 대학 진학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대학(4년제+2년제)에 입학한 장애인 학생수는 2015년 1133명에서 2016년 1198명, 2017년 1191명으로 증가 추세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들이 장애인 특례입학을 늘리고 있는 데다 심각한 구직난 속에 ‘가방끈이 길어야 취업이 유리하다’는 인식이 퍼져 대학에 많이 가려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장애 학생들에게 대학 진학은 취업에 기회인 동시에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대학에서 전공 이해도를 키워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지만, 동시에 희망 직업에 대한 기대가 커져 고용시장에서 좌절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장애인 취업을 도와 온 공공기관의 한 관계자는 “전통적으로 시각장애인은 안마사가 주요 취업 직종이었지만, 요즘 시각장애 대학생은 다른 직종 취업에 실패하면 가는 마지막 일자리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조호근 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 고용지원국장은 “공공기관이나 기업들은 법적으로 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지켜야 하지만 대부분이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각 대학들이 장애 학생의 특성과 기업 수요에 맞춰 취업 지원을 해 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현실은 어둡다. 연구팀이 서울·경기·강원 등 8개 지역 대학의 장애 학생 취업 담당자 18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장애 학생 취업 지원과 관련한 어려움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산업체 요구와 현실의 괴리’(17%), 장애 학생 지원 전문인력의 부재(15%), 장애 학생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부재(13%) 등을 꼽았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2-14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