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화마 할퀸 삼척 점리의 봄은 침묵했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17-05-10 17:31 사회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화마는 강원 삼척시 도계읍 점리의 봄을 삼켜버렸다.

10일 찾아간 점리는 고요했다.

구봉산 동남쪽에 자리 잡은 점리는 울창한 소나무숲으로 유명하다.

수령 50년이 넘은 소나무가 하늘을 가린 곳이다.

울창한 숲 속은 딱새 터전이다.

봄은 딱새가 짝짓기하는 계절이다.

그러나 짝을 찾아 바삐 움직여야 할 딱새가 보이지 않았다.

사랑 노래도 들리지 않았다.

점리의 봄은 침묵했다.

꽃을 찾아 분주히 날아야 할 나비와 벌도 사라졌다.

콘크리트 마을 길 옆에 활짝 핀 지느러미엉겅퀴 꽃 위에도 나비가 없었다.

지느러미엉겅퀴는 나비가 많이 좋아하는 꽃이다.

고요한 봄 숲 속 여기저기에는 죽음의 검은 색이 내려앉았다.

산불이 할퀴고 간 상처다.

김부래 산악인은 “소나무가 불에 약하기 때문에 화마의 손길을 탄 소나무는 대부분 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봉산 중턱에서 농사를 짓던 농가는 흔적없이 사라졌다.

이 농가는 너와집이었다.

처마 밑에 걸어두었던 호미는 나무 손잡이가 모두 탄 채 쇠붙이만 남았다.

부엌 아궁이를 지키던 가마솥도 무너진 진흙 벽돌 사이에 나뒹굴었다.

구봉산 자락 깊은 숲 속에서 만난 한 주민은 산불이 덮친 지난 사흘간은 악몽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6일 오후 연기가 끊임없이 올라오더니 7일과 8일에는 불길이 코앞까지 다가왔다”라며 “일단 새끼 밴 소를 집안으로 들이고 온종일 집에 물을 뿌렸다”라고 말했다.

그가 사는 집도 너와집이다.

숲이 울창한 산간지대나 화전지역 전통 가옥 너와집은 외양간이 집 안에 있다.

‘여름 무더위·겨울 강추위’라는 산간지역 기후 영향이다.

그는 집 앞으로 광활하게 펼쳐진 숲을 가리키며 “푸른 숲 곳곳에 울긋불긋하게 보이는 나무는 모두 불길이 스쳐 간 것”이라며 “삶의 터전이자 어릴 적 추억이 가득한 숲을 사라지게 됐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마음 아프다”라고 말했다.

58세인 그는 이 집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와 함께 산불을 이겨낸 소와 강아지도 지친 듯 집 마당에 앉아 있었다.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나흘간 계속된 삼척 산불로 산림 270㏊가 잿더미로 변했다.

연합뉴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