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6년 조작’ 눈감은 조직 문화…미쓰비시 회장 “책임지고 사퇴”

‘26년 조작’ 눈감은 조직 문화…미쓰비시 회장 “책임지고 사퇴”

이석우 기자
입력 2016-04-27 22:54
업데이트 2016-04-28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동체 우선·실적 압박에 묵인 美도 자국서 판매된 차량 조사

일본 미쓰비시 자동차의 연비 조작 스캔들이 미국 등 나라 밖으로 번지고 있다. 경영진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고 밝힌 가운데 회사의 주가도 급락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연비 조작이 드러난 일본 미쓰비시자동차의 아이카와 데쓰로 사장이 지난 26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무거운 표정을 짓고 있다. 마스코 오사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와 아이카와 사장은 이번 사태가 마무리되는 대로 사임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쿄 AP 연합뉴스
연비 조작이 드러난 일본 미쓰비시자동차의 아이카와 데쓰로 사장이 지난 26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무거운 표정을 짓고 있다. 마스코 오사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와 아이카와 사장은 이번 사태가 마무리되는 대로 사임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쿄 AP 연합뉴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자국에서 팔린 미쓰비시 차량이 연비 규정을 충족하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EPA는 미쓰비시에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에 대한 추가 정보 제출을 요구하는 한편 이들 차량에 대한 주행저항 재시험을 지시했다. 미쓰비시 브랜드의 자동차 10대 가운데 9대가 일본 밖에서 팔리기 때문에 사태는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

회사의 주가는 이날까지 5거래일간 반 토막이 나 시가총액이 4조원 이상 날아갔다. 파문이 확산되자 마스코 오사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와 아이카와 데쓰로 사장이 사임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연비 조작 실태 파악을 위해 구성한 특별위원회가 오는 7월 조사보고서를 완성하면 두 사람 모두 사임할 가능성이 크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미쓰비시차가 제출한 사내 조사 보고서에 대해 “내용이 충분하지 않다”며 전 차종에 대한 조작 여부 등을 조사해 다음달 11일까지 다시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지난해 도시바 회계 부정에 이어 한때 신뢰 경영의 표상이던 일본 대표 기업들에서 잇따른 부정 행위가 드러나면서 ‘일본식 기업문화’의 한계와 문제점들이 도마에 올랐다. 무엇보다 사내 견제와 감독 기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연비 조작이 1991년부터 이뤄졌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나서 아이카와 사장은 “그동안 회사 내에서 자정 작용이 없었다”고 시인했다.

미쓰비시의 경우처럼 26년 동안 담당 부서가 시험 결과 조작을 자행했지만 부서 간 높은 장벽 탓에 적발이 불가능했다. 소통 부재 속에 개별 부서의 자율성이 크고 기술 부서의 권한이 막강해 왜곡과 조작이 지속될 수 있었다. 김운호 니혼대 교수는 “부서들이 독립채산제로 운용되는 경우가 많다”며 “공동체를 앞세우는 기업문화와 조직 내 문제를 들춰내고 추궁하지 않으려는 분위기도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일본 자동차 기업 가운데 경영실적이 가장 처진 미쓰비시 관계자들이 실적 압박을 이기지 못해 조작을 묵인해 왔을 것이란 얘기도 있다. 이 경우 부정 행위는 개인의 문제라기보다 회사를 위한 행위로 인식된다. 나카오 류고 부사장이 “사원에 대한 (실적 향상) 압력이 있었다”며 “연비 조작은 회사가 내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한 기업전문가는 “일본도 성장기에는 사내에서 치열한 비판과 견제가 있었다”면서 “그러나 안정기에 접어들고 나서 소수의 사내 주도 세력과 인물에 의해 회사가 좌지우지되고, 대부분은 침묵하거나 그저 따르는 경향이 두드러졌다”고 전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6-04-28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