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폐경기 여성, 뼈건강 관리는 필수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폐경기 여성, 뼈건강 관리는 필수

입력 2016-04-24 17:34
수정 2016-04-24 18: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성은 대개 45~55세쯤 폐경을 맞는다. 폐경은 제 명을 다한 난소에서 호르몬이 더는 나오지 않아 월경이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난소 기능이 점점 소실되는 약 5년의 과도기 동안 여성은 신체·정신적 변화와 기능 장애를 겪는다.

가장 흔한 증상이 얼굴의 화끈거림이다. 가장 초기 증상이며 갱년기 여성의 25%가 경험한다. 치료하지 않아도 75%는 4년 후 증상이 없어진다. 폐경 후 3~4년이면 생식비뇨기계 증상이 나타난다. 여성호르몬이 감소해 질과 요도계의 상피세포가 얇아지고 건조해지며 탄력이 떨어진다. 자궁은 지름 3㎝ 이하로 작아지고 출산을 많이 한 여성은 넓어진 질로 자궁이 빠져나오는 ‘자궁탈출증’이 생기기도 한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가장 큰 문제는 골다공증 등 만성질환이다. 골밀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성호르몬이 감소해 칼슘이 빠져나가면서 뼈에 구멍이 많이 생긴다. 고작 멍만 들 정도로 살짝 넘어져도 골절상을 입을 수 있다. 골다공증이 더 진행되면 키가 작아지고 등뼈가 볼록 튀어나오며, 허리가 짧아지고 앞가슴뼈가 늘어지는 전형적인 노인 체형으로 변한다. 한번 시들기 시작한 뼈는 되돌릴 수 없어 식습관과 운동으로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경우에 따라선 호르몬 보충 요법을 쓴다. 폐경 증상을 완화하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막는 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어떤 여성에게는 이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일반적인 신체검사와 산부인과 검사를 받은 후 의사와 상담한다.

■도움말 채희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교수

2016-04-2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