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연비조작 미쓰비시車 파문 확대…‘미쓰비시 금요회’ 역할 주목

연비조작 미쓰비시車 파문 확대…‘미쓰비시 금요회’ 역할 주목

입력 2016-04-22 11:38
업데이트 2016-04-22 1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회장-사장단 모임 ‘금요회’…車 클레임 은폐 때도 그룹차원 지원

미쓰비시그룹이 연비조작으로 위기에 빠진 계열사 미쓰비시자동차를 다시 한 번 살려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쓰비시자동차(미쓰비시차)가 2000년 리콜 파문을 딛고 일어설 때도 그룹 차원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22일 일본 언론들은 미쓰비시그룹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모임인 ‘미쓰비시 금요회’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미쓰비시차는 지난 20일 오후 4종류의 경차에 대한 연비조작을 시인한 이후 22일 현재까지 주가 폭락이 이어지고 당국으로부터 고강도 조사를 받고 있다. “차량을 되사가라”라는 요구도 쏟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 판매차량까지 불똥이 튈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쓰비시차가 경차 생산라인이 가동을 중단하면서 해당 생산라인(미즈시마제작소)이 있는 오카야마현의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200여개 협력업체가 위기에 처하면 지역금융기관과 함께 긴급금융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보도했다.

◇ 미쓰비시 CEO모임 ‘금요회’…과거 리콜 파문 때도 회생 지원

미쓰비시그룹은 1873년 시코쿠 도사번 출신 이와사키 야타로에 의해 설립됐다.

‘제로센(ZERO 전투기)’ 등 군수품을 취급해 2차대전이 끝날 무렵 200여개의 회사를 거느리기도 했다. 종전과 함께 연합국최고사령부(GHQ)가 일본을 통치하며 재벌을 해체한 뒤 1952년 GHQ 시대가 종식되면서 그룹으로 재결합했다.

미쓰비시차는 일본 최대 중장비업체인 미쓰비시중공업에서 1970년 자동차부가 분리돼 탄생했다. 미쓰비시그룹의 특징은 창업자인 이와사키 집안의 영향력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그 대신 1954년부터 만들어진 미쓰비시 금요회가 그룹의 경영전략을 포함해 중대사안을 결정하고 위기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해왔다.

매월 둘째 주 금요일에 오찬간담회를 같이 하면서 금요회라는 이름이 붙었다. 결속력이 강한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현재는 미쓰비시UFJ은행의 히라노 노부유키 회장이 대표다.

따라서 금요회는 종업원 57만명의 미쓰비시그룹을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 언론이 금요회를 주목하는 것은 2000년에 발각된 리콜 사태 때 클레임 은폐 문제가 길어지며 미쓰비시차가 흔들릴 때도 적극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룹의 트로이카 3사(미쓰비시중공업, 미쓰비시상사, 미쓰비시도쿄UFJ은행)가 “미쓰비시 브랜드를 지키자”며 미쓰비시차의 경영재건을 도왔다.

당시 리콜 후폭풍으로 미쓰비시차가 경영 위기에 빠지자 2005년 이들 3사가 주축이 돼 총 5천400억엔(약 5조6천억원)의 지원에 나섰고, 미쓰비시상사 출신의 마스코 오사무씨를 자동차 사장에 취임시켜 9년간 회사를 재건했다.

미쓰비시그룹 종원원들도 일본 안팎에서 외면을 받은 미쓰비시차를 사주며 살리기에 동참했다. 그 결과 미쓰비시차는 2015년 3월말 연간 결산에서는 엔저 효과까지 겹쳐 최종이익이 사상 최고치를 보이며 부활했다.

◇ 이번에도 금요회가 나설지 주목

따라서 이번에도 금요회가 지원사격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미쓰비시차의 소유 구조(작년 9월말 현재)를 봐도 미쓰비시 그룹사의 지분율이 3분의 1을 넘는다. 이런 지배구조는 그룹을 향한 책임론이 제기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일각에서 그룹 차원의 지원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나오지만, 아직은 이번 사태의 파장이나 향후대책에 대해 구체적인 방향은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미쓰비시 그룹 간부는 “이번 부정은 안전에 관계됐던 (2000년의) 리콜 문제와는 다소 다르다. 미쓰비시차가 진지하게 대응하면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낙관적으로 전망했다고 이날 산케이신문이 전했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는 “‘또인가’하는 기분이다. 향후 판매부진에 부딪히면 재무상태가 악화된다”고 염려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시장의 반응이나 파장에 따라 그룹 차원의 대응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한 편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