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중, 내일 6자수석 회동…정부 ‘北추가도발 억제’ 총력

한중, 내일 6자수석 회동…정부 ‘北추가도발 억제’ 총력

입력 2016-04-21 14:46
업데이트 2016-04-21 1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대북제재의 철저한 이행 노력과 함께 5차 핵실험 등 북한의 추가도발을 막기 위해 총력전에 나섰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22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회동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 본부장은 지난달 31일 미국 워싱턴에서의 한중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한반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한의 추가도발 억제, 유엔 안보리 결의(2270호)의 충실한 이행 등을 포함해 북핵, 북한 문제와 관련한 전반적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조 대변인은 설명했다.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은 북한의 5차 핵실험 징후가 포착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한미중, 미중간 긴밀한 협의와 맞물려 이뤄진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난 19일에는 서울에서 한일 외교차관 회담,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한미 외교차관 협의회가 열렸다.

또 20일에는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조찬 회동과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조태용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부장관간 한미 고위급 전력협의가 잇따라 개최됐다.

특히 한미 6자 회동을 하루 앞둔 21일 베이징에서는 미중 6자회담 수석대표인 성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우다웨이 특별대표가 만난다.

한미일간 협의를 토대로 한미 양국이 잇따라 중국과 협의를 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우리 정부가 한미중 3자협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상황에서 이번에도 하루 차이로 미중, 한중 회동이 별도로 이뤄져 북한을 의식한 중국의 한미중 협의에 대한 거부감이 반영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우리 정부는 미국, 일본에 이은 중국과의 접촉에서 북한의 추가도발을 막고 대북제재의 실효적 이행을 위한 중국 측의 지속적인 협력을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일각에서는 오는 27~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외교장관 회의와 관련, 한중이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참석 문제를 협의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카자흐스탄 주도로 1992년 출범해 중국, 러시아 등과 함께 CICA에 참여중인 우리나라는 그동안 외교장관이 관련 회의에 한 번도 참석하지 않았으며, 윤 장관은 처음으로 대북공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참석 여부를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정부는 북한이 지도부 결심에 따라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경고에도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 더 강력한 제재와 고립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다.

조 대변인은 최근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북한의 5차 핵실험시 ’방어 관련 조치‘(defense-related measures)를 취할 것이라고 언급한데 대해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 핵실험 강행시 미국이 역내 동맹인 한국과 일본과 보다 강력한 방어조치를 취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조 대변인은 ’정보교류' 언급이 한일간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을 염두에 둔 것이냐는 질문에 “한미간에 정보교류 강화라든지 그런 조치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말씀드린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지적한 문제에 대해서는 한일 (외교) 차관급 협의회라든지, 여러 계기에 우리의 기존 입장이 표출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해 지난 19일 한일 외교차관 회담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문제가 거론됐음을 시사했다.

일본 측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에 적극적이고 미국도 동조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며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