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친박계 균열 조짐…10년만에 ‘친박·친이’ 사라지나

친박계 균열 조짐…10년만에 ‘친박·친이’ 사라지나

입력 2016-04-20 13:31
업데이트 2016-04-20 1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쇄신 움직임 맞물려 ‘친박계’ 퇴조 흐름…“No 계파로 가야”

공고했던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결속력에 서서히 균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4·13 총선 공천까지만 해도 당내 주류인 친박 진영은 위세가 대단했다.

심지어 지난 2007년 이명박 대선 경선 캠프에서 활동하며 당시 경쟁관계였던 박근혜캠프에 ‘창’을 겨누고 MB 정부 고위직까지 지냈던 한 인사는 계파 성향에 대한 질문에 거리낌 없이 “당연히 친박으로 분류해 달라”고 할 정도였다.

그러나 참패 후폭풍 속에서 당내에서 책임론이 본격 제기되고 일각에서 ‘희생양’을 찾으려는 조짐마저 보이자 잔뜩 웅크리는 모양새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2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향후 벌어질 원내대표, 당 대표 경선과 관련, “친박, 비박 이런 것 없이 노(No) 계파로 가야 한다”면서 “친박 색채를 지우고 대통령한테 제대로 민심을 전달하겠다고 하는 후보에 승산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할 말은 하는’ 수평적 당청 관계를 앞세워야 득표력이 생긴다는 의미다. 이번 국회 초반만 해도 당청이 유기적이고 긴밀한 협조하에 돌아가야 한다는 이른바 ‘톱니바퀴론’을 제기했던 친박계지만 상황이 달라졌다.

언론을 통해 당권 도전을 선언한 친박 핵심 이정현 의원은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진박이네 친박이네 하는 계파를 완전히 초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면서 “그러지 않으면 도로 새누리당으로 돌아가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이제는 새누리당 권력 투쟁 양상을 분석하는 주요 척도였던 ‘친박-친이(친이명박) 구도’가 10년 만에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

지난 2006년 6월 당시 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통령이 대표직을 사임한 후 같은 해 9월 여의도에 경선 캠프 사무실을 꾸리고, 역시 서울시장 임기를 마치고 뛰어든 이명박 전 대통령과 경쟁을 벌였던 게 기나긴 친박-친이 대결의 시작이었다.

이미 구(舊) 주류 친이계는 이번 총선에서는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마저 낙천한 후 야당에 패하면서 거의 명맥이 끊겼다.

심지어 지난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집권 당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에서 열린 제19대 총선에서는 ‘주이야박’(晝李夜朴·낮에는 친이명박, 밤에는 친박근혜) 이라는 얘기가 돌 정도로 권력 질서가 재편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부터는 친박, 친이의 대결보다는 ‘친박 대 비박’ 구도로 당내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이제는 ‘주박(晝朴)’ 의원들이 남아 눈치를 보는 형국이다. 아직 뚜렷한 당권·대권 주자가 나오지 않은 만큼 밤에는 어디에 줄을 설지 명확지 않은 상황이다.

쇄신론이 분출하면서 계파간 경계는 더욱 옅어지는 분위기다. 신박(新박근혜)으로 분류되는 원유철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추대를 막은 게 단적인 장면이다.

친박계는 ‘현실론’을 들어 내심 원 원내대표를 추대하고자 했지만 박 대통령 후보 비서실장을 지낸 이학재 의원, 현 정부 청와대 정무비서관을 지낸 주광덕 당선인이 친유승민계로 분류되는 김세연 의원 등과 합세해 가장 먼저 반기를 들었다.

반면, 탈박(脫朴·탈박근혜) 움직임에 대응해 임기 후반을 맞이하면서 친박계 결집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박근혜 정부의 탄생을 주도했던 세력이 현 정부가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도록 주도해야 한다”면서 “이는 계파를 떠나 책임 정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래야 보수 진영이 정권을 재창출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여권내 구심력이 사라지면 여소야대 정국에서 국정 운영 동력이 더욱 떨어지고 보수 진영 전체가 공멸할 수 있다는 게 이들의 논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