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시대] 캐나다의 연구수준이 높은 이유/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글로벌 시대] 캐나다의 연구수준이 높은 이유/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입력 2016-04-17 23:40
업데이트 2016-04-1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정보·기술영역에서 최근 5년 동안 한국 언론에 가장 많이 등장한 분야는 무엇일까. 대부분이 예측하듯 인터넷(124만건)과 스마트폰(46만건)이다. 세 번째는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을 계기로 알려진 인공지능(11만 2000건)이다. 한때 큰 관심을 끈 빅데이터·소셜미디어·사물인터넷은 인공지능에 한참 못 미쳤다. 한국언론재단의 언론정보검색사이트에서 비교해 본 결과다.

인공지능과 관련, 국내 매체들의 보도 중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을 끈 것은 캐나다를 인공지능 연구수준이 가장 높은 나라라고 지목하고, 캐나다의 연구 관행이 큰 역할을 했다는 부분이다. ‘한국도 캐나다처럼 할 수 있을까’라는 다소 자극적인 제목도 보았다. 캐나다 고등교육원(CIFAR)이 인공지능 분야 최고 대가로 성장한 제프리 힌튼 토론토 대학 교수 등에게 2004년부터 10년 동안 1000만 달러를 지원한 것이 오늘날 인공지능의 발전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단기적인 성과가 아닌 먼 장래를 내다보고 과감히 투자해 알파고의 탄생까지 이어지는 인공지능 분야를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캐나다대학에 근무하고 있다는 이유로 국내 학자와 언론인으로부터 캐나다의 연구지원과 운영은 구체적으로 한국과 어떻게 다른 지에 대한 질문을 받는다. 그럴 때면 한국과 캐나다연구재단을 통해 연구비를 수주해 본 경험을 토대로 캐나다의 특징을 말해주곤 한다.

무엇보다도 캐나다는 한국의 연구재단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1년짜리 단기 연구보다는 최소한 3년 이상의 중·장기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에서는 1년짜리 과제를 통해 논문 한 편을 완성해서 학술저널에 출간하는 것이 목적인 만큼 오랜 시간이 걸리는 연구를 수행할 기회가 많지 않다. 1년 만에 연구를 마치고 성과를 내야 하기 때문에 연구계획서 제출 당시에 어느 정도 진행된 프로젝트를 신규 과제로 신청하고는 한다. 이에 반해 캐나다에서는 당장 성과가 나지 않더라도 여러 해가 지나면서 논문을 내거나 책을 낼 수 있는 알찬 연구가 가능하다. 캐나다는 또 연구 자체에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예를 들어 6개월 만에 제출하는 중간 보고서 자체가 양도 많고 이미 학회 등에서 발표를 마쳐야 할 정도의 성과가 표시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현실적이다. 캐나다는 연구가 종료되면 온라인상에서 간단하게 보고서를 내면 끝이다. 해당 결과물을 제출하지도 않는다.

물론 연구자들이 한국과 비교해 매우 느슨해 보이는 보고절차 때문에 연구를 등한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음번 연구비 수주를 위한 계획서를 제출할 때, 이전 연구비로 진행된 결과물을 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연구 영역도 있다. 결코 이를 문제 삼지 않는다. 연구비를 둘러싼 사회적인 신뢰가 형성되어 있어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 연구 국제화 현황 및 지원방안 기획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4년간 국제공동논문을 가장 많이 낸 대학이 캐나다의 토론토 대학(3만 2508건)이다. 서울대의 3배에 이른다. 당연한 귀결이다. 중장기 연구이다 보니 연구계획서 작성 당시부터 외국 학자들과 공동으로 작업을 추진할 수 있다. 1~2년짜리 단기 과제로는 외국학자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단기적인 결과물에 집중하는 국내연구 풍토에 대한 비판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제로 한국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장기적인 연구비 지원체제로 전환하고 연구자들이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시스템을 바꾸어야 한다.
2016-04-18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