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슈도 바람도 없는 총선정국…여야, 막판 ‘닥치고 수비’

이슈도 바람도 없는 총선정국…여야, 막판 ‘닥치고 수비’

입력 2016-04-07 17:23
업데이트 2016-04-07 1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선한 이슈 대신 與 ‘읍소전략’·野 ‘심판론’에만 기대

막판 ‘자살골’ 실언·실책 우려해 몸조심·입단속 치중

4·13 총선이 7일로 엿새 앞으로 다가왔지만, 과거와 달리 이번 총선은 여야가 사활을 걸고 맞붙는 대형 이슈가 눈에 띄지 않는다.

예전 선거에서는 캠페인 전체를 관통하는 굵직한 이슈나 선거판에 바람을 일으키는 거물급 정치인 또는 신선한 인물이 등장해 판세를 주도했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그런 현상이 사실상 실종됐다.

지난 19대 총선에서는 2011년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부터 정국 이슈로 부상한 ‘무상 복지’ 이슈와 야당이 제기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문제가 핵심 쟁점이 됐다. 앞서 18대 총선에선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한반도 대운하’ 백지화 문제와 뉴타운 건설 등이 주요 논란거리로 떠오른 바 있다. 17대 총선 당시엔 ‘노무현 대통령 탄핵’이 메가톤급 이슈였다.

그러나 이미 막판으로 치닫는 이번 선거에서는 대형 이슈가 새롭게 부상하기는 어려워 보이는 상황이다.

이처럼 각 당이 선거 승리를 담보할 만한 ‘전략무기’를 보유하지 못하다 보니 선거일이 가까워 올수록 공격 대신 수비에 치중하는 소극적 전략으로 선회하고 있다.

대량 득점보다는 어이없는 실수나 헛발질을 막아 막판 실점을 최소화하는 전술로 승기를 잡겠다는 계산이다. 요즘 축구나 농구 종목 등에서 쓰이는 표현대로 ‘닥치고 수비’인 셈이다.

새누리당은 정부의 레임덕(권력 누수)만은 막아달라는 ‘읍소 전략’을, 더불어민주당은 구체성이 부족한 ‘경제실정 심판론’을, 국민의당은 정치공학적인 ‘양당 체제 심판론’을 각각 지루하게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그나마 경제 전문가인 새누리당 강봉균·더민주 김종인 선대위원장이 양적 완화, 경제 민주화 등을 놓고 논쟁을 거듭하면서 쟁점 이슈로 떠오르는가 했지만, 결국 유권자의 큰 관심을 얻지는 못했다. 남은 것은 두 경제통 ‘노(老) 정객’ 사이에서 벌어진 자존심 대결의 이미지였다.

선거 초반부터 이슈를 적극 제기했어야 했던 야권은 야권 분열에 따른 주도권 경쟁에 매달리고, 선거전이 본격화 한 이후엔 ‘후보 단일화’라는 정치공학적인 이슈에만 매몰돼 시간을 허비한 것도 ‘이슈 없는 선거’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과거에도 실언이나 정치적 실책 한 방에 수십여 석의 의석을 날린 사례가 있었던 만큼 이슈 없는 선거에서 ‘몸조심’은 필수적인 전략이다.

지난 17대 총선에선 당시 열린우리당이 200석을 넘길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선거 기간에 정동영 의장의 ‘노인 폄하 발언’이 나오면서 노인층이 결집, 고사 직전의 당시 한나라당이 기사회생하는 전기가 됐다.

19대 총선에서는 당시 민주통합당이 초·중반 기선을 잡고 수도권을 싹쓸이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지만, 서울 노원갑에 출마했던 김용민 후보의 ‘여성비하·저질 막말 발언’ 사건이 터지면서 새누리당이 적지 않은 반사 이익을 봤다.

이 같은 ‘실언(失言)’의 파괴력을 너무나 잘 아는 여야는 내부적으로 ‘입단속’에 최대한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 나왔던 각종 실언도 지도부의 강한 경계령을 뚫고 돌발적으로 터져 나왔다는 점에서 이번 총선 역시 ‘막판 자살골’이 언제, 어디서 터질지 예측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