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장 블로그] ‘한국사 물수능’ 사교육 광풍 막았지만…

[현장 블로그] ‘한국사 물수능’ 사교육 광풍 막았지만…

조용철 기자
입력 2016-03-31 22:52
업데이트 2016-03-31 2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사가 올해 수능부터 필수과목이 돼 수강생이 넘쳐날 줄 알았는데, 웬걸요. 폐강해야 할 판입니다.” 대입학원 한국사 강사인 박모(35)씨는 긴 한숨을 쉬었습니다.

교육부가 2017학년도 입시부터 한국사를 대학수학능력시험 필수과목으로 지정한다고 발표한 건 2013년 8월이었습니다. 한국사 강사들은 그때부터 올해가 오기만을 목을 빼고 기다렸습니다. 그동안은 수능 한국사가 필수인 대학이 서울대뿐이어서 해당 학생이 1만명 정도밖에 안 됐지만, 올해에는 60만여명이 모두 시험을 치러야 해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질 것으로 기대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학원들이 왜 “망했다”고 할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한국사 시험을 쉽게 낼 것이라는 교육부의 말이 수험생들에게 제대로 먹혔기 때문입니다.

이런 분위기는 지난 3월 10일 실시된 전국연합학력평가(모의고사)에서 확인됐습니다. 모의고사 전체 응시자 46만 8531명 중 1등급이 4만 9613명으로 10.6%나 됐습니다. 3등급 이내 학생은 34.4%에 달했죠. 한국사는 절대평가입니다. 50점 만점 중 40점 이상이 1등급인데, 배점에 따라 20문제 중 3~5개까지 틀려도 됩니다.

정부는 쉬운 수능을 통해 과열 경쟁을 줄이고 사교육비를 억제하고 싶어 합니다. 그런 면에서 ‘쉬운 한국사 시험’은 성공적입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대학들이 호응했기 때문입니다. 서울대는 대학별 환산점수에서 3등급까지 만점을 줍니다. 연세대·고려대는 인문계열은 3등급, 자연계열은 4등급까지 만점입니다. 비슷한 의도에서 나온 게 2018년도부터 시행될 수능 영어 절대평가입니다. 하지만 영어에 대한 대학들의 방침은 한국사와 다릅니다. 상당수 대학이 변별력을 위해 등급별 점수 차이를 크게 책정하고 있습니다. 우수 인재를 가려내는 데 있어 영어가 한국사보다 중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결국 정답은 없는 셈입니다. 한 대학 관계자는 “사교육비도 줄이고 변별력을 유지하는 적정한 선이 우리 입시 풍토에서 존재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습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6-04-01 1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