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개통 8분만에 사고… ‘예견된 망신’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개통 8분만에 사고… ‘예견된 망신’

김학준 기자
입력 2016-02-05 20:54
수정 2016-02-05 2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자 해소됐다” 개통 서두른 국토부 장담 ´허언´확인

 시운전 중 적발된 하자가 아직 완전하게 해결되지 않아 시급한 개통이라는 지적(?서울신문 2월 3일자 18면?)을 받은 인천국제공항 자기부상열차가 개통 8분 만에 사고가 난 것으로 드러났다. 비록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하자가 완전히 해소됐다며 개통을 서두른 국토교통부의 장담이 허언이었음을 방증하고 있다.

 5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3일 오전 11시 첫 운행을 시작한 자기부상열차가 운행 시작 8분여 만에 선로 위에서 갑자기 급정거했다. 인천국제공항역을 출발한 열차가 시속 60km로 달리다가 종착역인 용유역을 300여m 남기고 갑자기 멈춘 돌발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이 열차에는 오전 10시에 열린 개통식에 참가한 최정호 국토부 2차관 등 내빈과 행사 관계자 40여명을 타고 있었다.

 급정거와 동시에 선로 위를 8mm 가량 떠서 운행하던 열차는 선로 위에 내려앉아 선로와 부딪혔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충격으로 탑승객들의 몸이 한쪽으로 쏠렸고, 열차 주변으로는 큰 먼지가 일기도 했다.

 다행히 열차는 10여 초 뒤 다시 움직여 목적지에 도착했지만, 들뜬 마음으로 시승식에 참가한 사람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려야만 했다.

 국토부는 철로 위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가 과민 반응해 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시승했다가 사고를 몸소 체험한 최 차관은 “이런 일이 반복되면 시민들이 안심하고 탈 수 없다”면서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자기부상열차는 2012년 9월 완공됐으나 종합점검 결과 무려 651건에 달하는 하자가 발견돼 4차례나 개통이 연기되는 진통을 겪었다. 국토부는 지속적으로 보수를 진행하면서 개통을 서둘렀지만, 산하기관인 인천교통공사가 운영을 맡은 인천시는 안전을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을 때까지 개통을 미뤄야 한다고 주장해 양측은 갈등을 겪어 왔다. 국토부는 인천시에 개통을 알리는 공문조차 보내지 않았고,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례적으로 개통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