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애플, 고성장 마침표…아이폰 판매증가율 최저·역성장 전망

애플, 고성장 마침표…아이폰 판매증가율 최저·역성장 전망

입력 2016-01-27 09:49
업데이트 2016-01-27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3년 아이폰 출시 후 처음으로 판매 감소할 듯…FT “아이폰 성장시대 종언”

전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의 지난 분기 아이폰 판매증가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곤두박질치면서 성장 전망에 먹구름이 끼었다.

심지어 현 분기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애플의 고성장 시대가 저무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애플은 지난 분기에 아이폰 7천480만대를 판매했다고 26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0.4% 증가한 것으로 2007년 첫 모델 발매 후 사상 최저 판매증가율이다. 전 분기 아이폰 판매량은 시장 전망(7천654만대)에 못 미치는 수치다.

애플은 이날 미국 나스닥 시장 마감 후 지난 분기인 2016 회계연도(FY) 1분기(작년 12월 26일 종료)의 실적을 발표했다.

분기 매출은 759억 달러(91조1천억 원), 순이익은 184억 달러(22조1천억 원), 희석주당순이익은 3.28 달러로 역대 최고였다.

증가율로 보면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1.7% 늘었고 순이익 증가율은 2.2%였다. 이는 애플의 매출과 순이익이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서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매출 증가율은 아이폰5s가 출시되기 직전인 2013년 6월 이후 가장 낮다”고 설명했다.

전년 동기 매출은 746억 달러(89조6천억 원), 순이익은 180억 달러(21조6천억 원), 희석주당순이익은 3.06 달러였다.

지난 분기의 총마진율은 40.1%로, 전년 동기의 39.9%보다 조금 더 높았다. 지난 분기 매출에서 미국 외 시장의 비중은 66%였다.

애플은 이어진 달러 강세가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환율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 전 분기 매출이 1년 전보다 8% 늘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애플의 매출 가운데 3분의 2는 해외에서 나온다.

경기 침체로 미국과 일본은 물론 거대 시장인 중국과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서 스마트폰 판매가 부진했던 것도 실적에 악영향을 준 요인으로 꼽힌다.

신통치 않은 성적표를 받아든 애플의 실적 전망 역시 밝은 편은 아니다.

애플은 현 분기인 2016 FY 2분기의 실적 전망치로 매출 500억∼530억 달러(60조∼64조 원), 총마진율 39.0∼39.5%, 영업비용 60억∼61억 달러(7조2천억∼7조3천억 원), 기타 이익 3억2천500만 달러(3천900억 원), 세율 25.5%를 제시했다.

이 전망치에 따르면 애플은 현 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8.6∼13.8% 감소할 것으로 본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럴 경우 애플은 21세기 들어 사실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하게 된다.

WSJ는 애플이 제시한 매출 전망치의 중간값 51억500만 달러가 지난해 동기 대비 11% 감소한 수치라며 “2003년 이래 처음으로 매출이 감소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애플 아이폰 성장 시대가 종언을 고했다”며 “3월로 끝나는 분기에 아이폰 판매가 2007년 출시 이래 처음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신호가 나왔다”고 지적했다.

1년 전인 2015 FY 2분기의 애플 실적은 매출 580억 달러(69조6천억 원), 순이익 136억 달러(16조3천억 원), 희석주당순이익 2.33 달러, 희석주당순이익 40.8%, 아이폰 판매 대수 6천110만대, 아이패드 판매 대수 1천260만대, 맥 판매 대수 450만대였다.

애플 이사회는 주당 0.52 달러의 현금배당을 다음 달 11일 실시키로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