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제2 글로벌 경제 위기… “한·중·일 공통 통화 고민할 때”

[단독] 제2 글로벌 경제 위기… “한·중·일 공통 통화 고민할 때”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6-01-26 23:04
업데이트 2016-01-26 2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조 달러 돈 풀기 후유증…“美 올 금리 2~4차례 인상”

2008년 금융위기에 이어 세계경제가 또 한 번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이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올린 뒤 신흥국에서 앞다퉈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이 신호탄이 될 수 있다. 이미 저금리 장기화로 신흥국에 쌓여 있던 비효율의 민낯, 금융과 실물의 불균형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26일 전 거래일보다 6.4% 폭락했다. 중국 경제의 기초체력에 맞지 않게 과대평가됐던 금융과 실물의 불균형이 정상을 찾아가는 과정이지만 이 과정에서 겪는 고통은 심각하다. 중국 경기가 갑자기 냉각돼 주가가 하락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경착륙 가능성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여기에 자금 이탈로 인한 신흥국의 재정위기가 맞물리면 곧바로 글로벌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미국을 제외한 유럽, 일본 등 전 세계가 더 돈을 푸는 것도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는 아니다.

펀드시장조사업체인 EPFR에 따르면 지난해 신흥국 포트폴리오(자산배분) 자금에서 1052억 1000만 달러(약 127조원)가 빠져나갔다. 2014년 유출 규모(402억 6000만 달러)의 두 배가 넘는다.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들이 자금을 대규모로 뺐다. 올 들어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그동안 넘쳐나는 달러로 체력에 어울리지 않게 ‘돈 잔치’를 벌였던 신흥국들이 미국 금리 인상으로 찬물을 뒤집어쓴 격이다.

금융위기 이후 중앙은행들이 시중에 공급한 돈은 10조 달러가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금리의 장기화와 시중에 풀린 돈은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는 한계기업의 연명을 가능하게 했다. 우리나라 가계빚이 지난해 9월 말 기준 1166조원을 넘고 전체 기업 10개 중 1개가 좀비기업(3년 이상 한계기업)인 상황이 이를 증명한다.

돈이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신흥국의 통화가치는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지난해 말보다 1.9% 떨어졌다. 러시아 루블화(-7.5%),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6.0%) 등은 지난해 폭락에 이어 또 떨어졌다.

통화가치가 떨어지면 해당 국가의 기업이 달러화로 빌린 빚이 커진다. 국제결제은행(BIS)은 신흥국 비금융 기업들의 부채 중 달러화 표시 부채를 최대 3조 달러(약 3500조원)로 추산하고 있다. 달러화의 움직임에 신흥 주식시장이 크게 흔들리는 이유다.

최공필 한국금융연구원 상임자문위원은 “(채권 매입을 통한 양적 완화 등)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상황은 더 고통스러울 텐데 이를 감내하기엔 지금의 회복세가 미약한 것이 큰 문제”라며 “장기적으로 달러화 중심에서 벗어나 일본, 중국 등과 공통 통화를 갖는 문제를 고민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현 회복세는 내수와 수출이 스스로 회복의 성장동력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각 분야를 아우르면서도 규모가 큰 종합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6-01-27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