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17번을 아십니까

117번을 아십니까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01-19 22:16
업데이트 2016-01-20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동학대 신고전화도 관리 미흡

아동학대 피해 아동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아동학대 신고 전화’(117번)나 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 교육 등은 무관심 속에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폭 번호 활용… 이용 거의 전무

경찰 관계자는 19일 “지난해 초 인천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이후 117 학교폭력 신고 전화를 아동학대 신고까지 확대했지만 별도로 통계조차 내지 못할 만큼 신고 건수가 미미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117신고센터에 접수된 9만 6542건의 신고 건수 중 2.2%(2158건)를 차지했던 ‘가정폭력’ 항목에 아동학대 신고가 극히 일부 포함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1577-1391·112… 잦은 변경 탓도

여기에는 아동학대 신고 전화 번호가 자주 변경된 탓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아동보호전문기관 신고센터 번호(1577-1391)는 외우기 어렵다는 이유로 2014년 9월 ‘112’로 통합됐다.

하지만 ‘112’는 긴급 신고 전화여서 아동학대를 상담하기에 적절치 않다는 판단에 지난해 2월 ‘117’로 바뀌었다. 현재 ‘117’에 아동학대를 신고하면 경중에 따라 아동보호전문기관이나 경찰서로 사건이 인계된다.

●학대 막을 부모교육도 1.5%뿐

아동학대를 막기 위한 강좌도 거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13년 굿네이버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등 부모 교육을 실시하는 주요 7개 민간·공공기관을 조사한 결과 아동학대와 관련한 부모 교육은 전체 과정의 1.5%에 불과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2014년 아동학대 피해 아동 발견율이 처음으로 1000명당 1명을 넘어섰다”며 “정부와 민간기관의 노력뿐 아니라 주위의 아동학대 사례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이웃의 감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6-01-20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