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흰색·회색으로 채운 ‘비움’

흰색·회색으로 채운 ‘비움’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7-20 23:30
업데이트 2015-07-21 0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색화 1세대 작가 故이동엽 개인전

넓고 흰 캔버스에 선이 분명하지 않은 희미한 회색의 공간이 있다. 회색은 가로로 공간을 구분 짓기도 하고 세로로 각을 세워 서 있기도 하다. 온통 흰색과 회색인 그림들은 비어 있는 듯하지만 가득 차 있다. 조선의 달항아리를 회화로 표현한다면 이런 모습일지 모른다.

이미지 확대
화가 생활을 하면서 아주 짧은 시기를 제외하고는 오로지 흰색과 회색만을 부여안고 살았던 한국 단색화의 1세대 작가 이동엽(1946~2013)의 개인전이 서울 종로구 소격동 학고재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첫 단색화 전시로 일컬어지는 1975년 일본 도쿄화랑의 ‘한국 5인의 작가-다섯 가지 흰색’전에 허황, 서승원, 권영우, 박서보와 함께 초대됐던 이동엽은 홍익대 미술교육과를 졸업하던 1972년 제1회 앙데팡당전에 흰 바탕에 반투명 컵을 옵셋잉크로 그린 100호 크기의 작품 ‘상황’ 연작을 출품해 평면 부분 1등을 차지하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 전시회를 방문했던 도쿄화랑의 야마모토 다카시 사장이 이 작품을 보고 “조선의 백자를 연상시킨다”며 깊은 호감을 표시하고 이후 그를 꾸준히 후원했다. “‘상황’ 연작 이후 그가 꾸준히 추구한 것은 다름 아닌 비움의 미학이었다”고 평론가 윤진섭은 전한다.

이동엽은 도쿄화랑 전시에 이어 1980년대까지 국내외에서 활발한 초청 전시를 가졌지만 90년대 이후 작업의 침체기를 맞아 심리적 좌절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그럼에도 붓을 놓지 않고 송파구의 반지하 작업실에서 그림에만 열중하던 그에게 2000년대 들어 다시 전시 요청이 들어왔고 그동안 홀로 갈고닦은 마음이 담긴 작품들이 세상에 나왔다. 그는 동양화를 그릴 때 쓰는 넓은 평붓으로 흰색 바탕 위해 흰색과 회색의 붓질을 반복해 생기는 자연스러운 겹침과 스며듦을 담아냈다. 영적 깊이의 구현을 위해 물질감을 최대한 배제하고 구도하듯이 무수한 붓질을 되풀이했던 그의 작품은 다분히 명상적이다.

프랑스 미술비평가 로랑 헤기 생테티엔미술관 관장은 “이동엽의 고요하고 명상적인 회화는 최소한의 뉘앙스로 환원되면서도 놀랄 정도로 섬세하게 색조를 세분하고, 지울 수 없고 효과적이며 풍부한 시적인 가능성의 메타포를 제공한다”고 평했다. 2008년 학고재 전시 등 호평과 함께 국제적 주목을 받기 시작한 그는 2013년 갑자기 세상을 떠나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이번 전시에는 1980년대부터 90년대, 2000년대에 선보인 ‘사이’ 연작 15점이 소개된다. 전시는 8월 23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7-21 2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