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자가 있습니다. 또 사촌 간인 친지를 종으로 부리는 자가 있고…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우쭐대며 천하를 야만족이라 무시하며 자기야말로 예의를 지켜 중화의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고 자부합니다. 이것은 우리 풍속이 자기를 기만하는 행위입니다.”
박제가는 왜 조선의 당면 과제로 북학(北學)을 내세웠을까. 강대국을 꿈꾼 이 젊은 선비는 1778년에 쓴 ‘자서’와 1786년 쓴 ‘병오년 정월에 올린 소회’, 1798년에 쓴 ‘북학의’(北學議)를 임금께 올렸다. 이를 통해 북학의 초고를 완성한 1778년 이후 거의 10년에 한 번꼴로 북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국왕은 개혁군주로 알려진 정조대왕. 1786년에 쓴 글에선 아예 정조가 왕위에 오른 지 10년 동안 미봉책으로 가난한 조선의 폐정을 개선했을 뿐이라 꼬집는가 하면 “현재의 법을 바꾸지 않는다면 현재의 풍속 아래에서 단 하루도 살 수 없다”며 부국강병을 주장했다. 정조는 호의적 태도를 내비쳤으나 박제가의 제안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이진 않았다. “여러 조목으로 진술한 내용을 보니 너의 식견과 지향을 알 수 있다”며 비켜갈 뿐이었다.
한문학자인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는 조선 후기 실학자인 박제가의 저서인 북학의를 새롭게 편집하고 해설을 붙여 책으로 내놨다.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중요한 글을 엄선하고 체제와 수록 순서 등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구성했다. 북학의는 제목만 보면 북쪽에 있는 청나라의 앞선 문물을 배우자는 주장으로 오해하기 쉽다. 그러나 박제가가 북학의에서 제시한 청사진은 먼저 중국을 배우고 이어 일본과 서양을 배워 국력과 문화를 증진하자는 것이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1-0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