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新 ‘제정일치(祭政一致)’ 시대의 암운/임성호 경희대 비교정치 교수

[열린세상] 新 ‘제정일치(祭政一致)’ 시대의 암운/임성호 경희대 비교정치 교수

입력 2011-01-01 00:00
업데이트 2011-0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치인은 사이비 종교인을 닮아간다. 종교인은 사이비 정치인을 빼닮는다. 언행과 행태만 봐선 정치인인지 종교인인지 구분하기 힘들다. 원시부족시대나 중세시대에 끝난 줄 알았고 오늘날엔 극소수 광신국가에만 남아 있는 제정일치(祭政一致), 그 구시대의 유물이 왜곡·변형된 형태로 되살아나 우리사회에 암운을 드리우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임성호 경희대 비교정치 교수
임성호 경희대 비교정치 교수
과거의 제정일치는 같은 사람이 동시에 종교지도자 겸 정치지도자의 역할을 맡는 것을 의미했다. 요즘의 제정일치는 정치인과 종교인이 따로 있지만 서로를 어설피 흉내내서 그 언행과 사회적 기능상 수렴현상이 벌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인의 불안하고 광폭한 심리를 반영하고 더욱 조장하는 것으로 개탄 받아야 마땅하다.

정치인의 사이비 종교인화(化)는 자기가 선(善)이고 상대는 악(惡)이므로 양보란 있을 수 없다는 절대주의적·이분법적 사고와 행동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정파를 불문하고 근래 정치인 간의 대결과 상호 공격은 종교전쟁을 연상시킬 만큼 전면적·지속적이고 험하다. 정의의 이름으로 상대방에 저주를 퍼붓는 정치인은 신의 이름으로 이교도를 멸하는 제사장, 귀신을 쫓아내는 굿판의 주술사와 다르지 않다. 내 입장과 네 입장 사이에서 중간적 조정을 시도하거나 대화로써 의견을 모아가는 진정한 정치인의 모습이 아니다.

종교인의 사이비 정치인화(化)는 전문성 있는 판단을 요하거나 정파적 이해관계가 얽힌 정책현안에 대해 특정 입장을 외쳐대고 압력을 행사하는 모습에서 드러난다. 일부 종교인의 행태는 정책현안마다 우리 집단에 어떤 이해관계가 있는지 계산해 상황에 따라 로비, 소송, 시위를 주도하는 이익단체간부와 다르지 않다. 신의 가호를 믿고 일반 신도를 동원하기 때문에 더 위선적이고 위험하다. 인간이 자존하며 남을 존중할 수 있도록 보편적 성찰의 가치를 설파하는 진정한 종교인의 모습이 아니다.

정치인과 종교인 모두가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부의 문제지만 사회 전체에 끼치는 폐해가 크다는 데에 사안의 심각함이 있다. 몇몇 정치인의 행태가 보여주는 섬뜩한 주술적 저주행위와 성전(聖戰), 그리고 몇몇 종교인의 언행에 나타나는 배타적 이익압력 활동과 정치세력화는 자극적 소재를 갈구하는 언론매체의 헤드라인으로 딱 좋다. 존재를 내세우려 호시탐탐하던 좌우 사회집단들의 논란 소재로도 적격이다. 그 결과, 사회의 과장된 관심을 끌고, 보다 심각하게는 사회 전체를 격앙된 갈등으로 몰아넣는다. 냉철하게 정책현안을 다루어야 할 정치인과 차분한 성찰의 덕을 퍼뜨려야 할 종교인이 각자의 본분을 잊고 어설피 닮아가며 사회갈등을 풀 수 없는 쪽으로 격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첨단과학기술시대에 제정일치 현상이 퍼지는 이면에는 대중의 불안감이 근본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가 너무도 빨리 비예측적으로 변하는 가운데 대중은 항상 불안감을 느끼고 사회의 원자화로 인해 위안처로 의지할 마땅한 구심점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런 불안한 대중일수록 냉철한 정치인과 성찰적 종교인에게서 만족을 못 느낀다. 대신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단순하게 재단하고 나는 좋고 상대방은 나쁘다고 규정해 심리적 쾌감을 느끼게 해주는 정치인 같기도 하고 종교인 같기도 한 짝퉁에게 끌릴 위험성이 있다. 사회구조 변화 및 사회 구심점 해체의 속도가 빠른 미국과 유럽에서도 제정일치 현상이 어느 정도 목격되기 시작한 이유일 것이다.

대중의 마음에 나만 옳다는 맹신을 심고 남을 향한 무조건의 적대심을 불어넣고 있는 일부 인사는 실은 정치인이나 종교인이라는 고상한 명칭의 자격이 없는 사이비일 뿐이다. 이제 더 이상의 과도한 사회갈등을 막기 위해 정치인은 대화와 타협이라는 본분으로, 종교인은 관용과 성찰이라는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야 한다. 이런 당위적 요청을 그들이 귀 기울여 듣고 실천하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 일반대중이 근본적으로 불안할 수밖에 없는 시대 속에서도 건전한 이성과 상식을 잃지 말아야 한다. 신제정일치의 암운이 벗겨지는 한 해를 소망하며 든 생각이다.
2011-01-01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