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0 남아공월드컵] 평가전을 통해 본 16강행 맞수 빈틈

[2010 남아공월드컵] 평가전을 통해 본 16강행 맞수 빈틈

입력 2010-06-01 00:00
업데이트 2010-06-01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드컵 개막이 코앞이다. 각 대표팀은 평가전을 통해 전력을 끌어올리는 한편 상대국 정보수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와 본선 B조에서 만날 그리스·아르헨티나·나이지리아의 빈틈은 어디일까.

●높지만 스피드에 약한 ‘장신숲’ 그리스

그리스는 스리백을 들고 나와 수비벽을 두껍게 쌓고 몇 번의 역습으로 상대를 무너뜨려 2004년 유럽선수권대회(유로2004) 챔피언에 올랐다. 다만 만만한(?) 팀에는 공격적인 포백 수비진영으로 맞선다. 월드컵 유럽예선 때도 그랬고, 26일 북한전(2-2 무) 때도 그랬다. 우리와의 월드컵 첫 경기도 포백수비가 점쳐진다.

그리스 포백은 탄탄한 ‘장신숲’이다. 특히 중앙수비수 ‘트윈타워’ 방겔리스 모라스(196㎝)와 소티리오스 키르기아코스(193㎝)는 북한의 공중공격에 단 한번도 위기를 허용하지 않았다. 어설픈 크로스는 번번이 차단당했다. 다만 지상전에는 약했다. 너무 큰 키는 스피드에 방해가 됐다. 민첩성이나 순발력에서 약점이 노출된 것.

북한전에서 홍영조-정대세-문인국의 빠른 발에 여러 차례 득점 기회를 내줬다. 북한이 짧고 빠른 패스로 수비 뒷공간으로 파고들자 그리스 수비벽은 단숨에 무너졌다. 측면 수비도 북한의 빠른 돌파에 붕괴됐다. 정대세의 두 번째 골은 그리스가 북한의 역습템포를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조직력 불안 아르헨티나

강력한 우승후보 아르헨티나는 리오넬 메시에 곤살로 이과인, 카를로스 테베스, 디에고 밀리토 등 선수 면면도 화려하다. 그러나 디에고 마라도나 감독이 ‘서 말인 구슬을 꿰지 못해’ 허둥대느라 전력이 불안정하다. 100명이 넘는 선수를 주구장창 테스트만 하다 보니 조직력이 갖춰지지 않았다.

3월 독일과의 평가전에서 승리(1-0)를 챙기며 비난 여론은 잠잠해졌지만, 위험은 잠복하고 있다. 지난 25일 캐나다를 5-0으로 대파하며 기세를 올렸다. 그러나 측면 수비에 빈틈이 노출됐다. 좌우 풀백들이 적극적으로 공격에 가담하면서 포백라인이 허리까지 전진했고, 캐나다는 이를 적극적으로 공략했다. 아르헨티나 측면 수비수들이 오버래핑하는 틈을 타 캐나다는 역습 때마다 측면으로 빠르게 패스를 이어나간 것. 다른 선수들의 적극적인 커버플레이로 실점 위기는 넘겼지만 허술한 배후공간은 여전히 아킬레스건이다. 수비진은 캐나다의 적극적인 압박에도 고전했다. 패스미스를 연발하며 캐나다에 공격기회를 넘겨줬다. 비록 골은 내주지 않았지만, 캐나다의 전력을 고려한다면 위태로운 모습이었다.

●구심점 없는 수비라인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특유의 유연성에 유럽의 체격과 남미의 개인기까지 겸비한 ‘강호’다. 약점은 환경이다. 월드컵 준비가 엉망진창이다. 2월 선임된 라예르베크 감독은 공식 데뷔전이었던 26일 사우디아라비아 평가전에선 0-0으로, 31일 콜롬비아전도 1-1로 비겼다. 감독은 “팀이 단계적으로 좋아지고 있다.”고 위안했지만 손발은 전혀 안 맞았다. 전술이나 조직력 없이 개인 능력대로 하는 듯한 인상이었다.

수비라인은 구심점이 없어 상대 공격수의 움직임을 쉽게 놓쳤다. 긴 다리와 큰 체구에도 공중볼에 취약했다. 개인기에만 의존하다 보니 공수 전환이 느렸고, 조직적인 압박에 무너지기 일쑤였다. 측면 수비수들은 지나치게 공격적인 오버래핑을 펼쳐 아슬아슬함을 더했다.

선수들의 기량을 조직력으로 짜맞추는 것이 급선무지만,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외국인 감독과의 서먹함에 월드컵 출전수당 문제, 극심한 개인주의, 무능한 협회까지 얽혀 해답이 없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0-06-0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