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Weekly Health Issue] (1) 금연

[Weekly Health Issue] (1) 금연

입력 2010-01-04 00:00
업데이트 2010-01-04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흡연 중독자도 약물치료땐 절반이상 끊어

새해를 맞아 새로운 건강 기획 ‘주간 건강이슈(Weekly Health Issue)’가 선을 보입니다. 새 기획은 독자 여러분의 건강과 관련한 궁금증 해소에 초점을 맞춰 실용성을 크게 강화했습니다. 특정 질병에 대한 환자 사례가 지면에 반영되는 것은 물론 전문의의 유용한 진료 가이드도 덧붙여집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을 기대합니다.

새해 벽두, 아직은 굳은 결심과 의지로 버티지만 오랫동안 물고 살아온 담배를 끊기는 쉽지 않다. 더구나 새해 첫 출근부터 회식 등 숱한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 많은 흡연자들의 결심이 이 고비에서 무너진다. 주변 분위기에 휩쓸려 자신과 쉽게 타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심을 했다면 한번 독하게 밀어붙일만 한 것이 금연이다. 얻는 이익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자, 새롭게 태어날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며 다시 한번 금연 의지를 다지자. 서울백병원 금연클리닉 김철환 교수가 “마약보다 무섭다.”고 경고하는 그 담배.

이미지 확대
담배는 중독성이 강한 마약인 탓에 한 번 습관이 되면 끊기가 어렵다. 따라서 금연을 위해서는 자신의 의지만 믿기보다 금연치료 보조제 등을 활용하는 게 현명하다. 사진은 김철환 교수가 금연 환자를 상대로 폐기능검사를 하는 모습. 서울백병원 제공
담배는 중독성이 강한 마약인 탓에 한 번 습관이 되면 끊기가 어렵다. 따라서 금연을 위해서는 자신의 의지만 믿기보다 금연치료 보조제 등을 활용하는 게 현명하다. 사진은 김철환 교수가 금연 환자를 상대로 폐기능검사를 하는 모습.
서울백병원 제공
●오랜 흡연자가 금연한다는 게 가능한 얘긴가?

니코틴이라는 중독물질은 신체적·정신적 의존성을 키워 한번 길들여지면 끊기가 어렵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흡연자들은 “힘들고 외로울 때 나를 지켜준 것이 담배”라고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그런 담배가 흡연자를 죽음의 나락으로 몰아넣고 있다는 사실이다.

●일부에선 흡연의 긍정적 역할도 말하는데….

흡연 긍정론은 중독자의 자기 위안일 뿐이다. 니코틴은 마리화나나 코카인보다 훨씬 강한 마약이다. 따라서 흡연자에게 니코틴이 결핍되면 불안해 하면서 담배를 찾게 되고, 담배를 피우면 안정감·행복감을 느낀다. 흡연이 긴장 완화나 스트레스 해소에는 도움이 된다고 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니코틴 금단증상을 스트레스로 여기고, 담배를 피우면 그런 증상이 없어지니까 이를 스트레스가 해소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흡연이 해롭다는 의학적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1년에 흡연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5만명에 이른다. 이는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사망자의 100배, 매년 교통사고 사망자의 10배가 넘는 규모에 해당된다. 흡연이 폐암 등 수많은 질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권위있는 연구를 종합하면, 국내 성인들이 고통받는 각종 암과 심장병·중풍·만성호흡기질환 등 주요 질병의 상당수는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면 걸리지 않았을 병이다.

●성별, 연령대별 국내 흡연율은?

복지부 조사 결과, 꾸준히 감소하던 성인 남성의 흡연율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남성 흡연율은 1998년 66.3%에서 2007년 45%까지 감소했다가 2008년 47.7%로 돌아섰다. 여성 흡연율도 1998년 6.5%에서 2007년 5.3%로 줄었다가 2008년에 7.4%로 높아져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른 조사에서 지난해 흡연율은 남성 45%,여성 6%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담배를 피우고도 장수한 사람들이 있는데

아무리 건강에 나쁘더라도 예외적으로 그 영향을 덜 받는 사람이 있다. 담배로 인한 질병에 노출되는 사람은 흡연자의 절반 가량이며, 나머지 50%는 담배로 인한 병이 생기기 전에 다른 병으로 숨진다. 문제는 담배로 인한 병이 생길 가능성을 미리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장수하는 사람 중에도 흡연자가 있지만 그건 기대할 수 없는 예외일 뿐이다. 흡연으로 병들어 숨졌거나 앓는 사람은 보이지 않고, 건강한 흡연자만 보여서 느끼는 착시 같은 것이다.

●판매금지 등 정책이 왜 시행되지 않는가?

현재 ‘담배 제조 및 판매금지에 관한 법’이 국회에 제출되었다. 이 법은 통과된 후 10년 후부터 국내에서 담배를 제조·판매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이며, 담배 농가 등의 피해구제 내용을 담고 있다. 아직 국민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국민 건강권은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이며, 국가는 이를 준수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흡연에 대해 국가나 담배회사의 책임은?

정부와 담배회사의 책임을 가리는 소송이 현재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젊은이들이 군대에서 담배를 배웠다. 담배회사는 면세담배를 통해 수많은 젊은이들을 흡연자로 만들어 엄청난 수입을 올렸다. 2009년에야 면세담배가 없어졌고, 그동안 담배회사들이 거둬들인 이득은 엄청난 것이다.

따라서 담배회사 뿐 아니라 국가도 흡연과 흡연으로 인한 질병에 책임이 있다. 참고로 미국에서도 담배회사에 흡연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나오기까지 흡연 피해자들이 1000번이나 소송에서 졌지만 최근에는 피해자들이 모두 승소하고 있다.

●금연에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국내 흡연자의 3분의 1은 금연할 생각이 없으며, 따라서 금연을 시도하지도 않는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계기가 필요하다. 다짜고짜 금연을 강요하는 대신 ‘건강’과 ‘행복’의 가치를 생각하게 하거나 자녀들과 금연 약속을 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금연 결심이 섰다면 직장 동료나 가족에게 이를 알려야 한다. 혼자 시도하면 대부분 실패한다. 금연에 실패해 본 사람이라면 의사의 처방을 받아 금연약을 사용하는 게 효과적이다. 혼자 금연할 때는 성공률이 5% 미만이지만 약을 사용하면 최고 50%까지 성공률이 높아진다.

●검증된 금연치료법은 무엇인가?

금연이 힘든 것은 니코틴 중독 때문인데, 하루 10개피 이상 피우는 흡연자는 대부분 니코틴중독 상태다. 이런 사람들은 니코틴껌 등 대체요법을 사용하거나 부프로피온이나 바레니클린 같은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여러번 금연에 실패한 사람에게는 바레니클린 약물요법을 권한다. 심한 중독자도 50% 이상 성공할 수 있다. 흡연자에게 의지만으로 담배를 끊으라는 것은 효과가 없다. 이보다는 행동의 변화를 권하고, 금연에 이르도록 적절한 약물요법을 사용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10-01-04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