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번째 한글본 ‘연행록’ 발견

다섯번째 한글본 ‘연행록’ 발견

김병철 기자
입력 2007-11-22 00:00
업데이트 2007-11-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시대에 중국으로 파견된 공식 사절단의 행적을 한글로 기록한 기행문집 ‘연행록(燕行錄)’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미지 확대
조선 철종때 중국으로 파견된 공식사절단의 행적을 한글로 기록한 기행문집 연행록(왼쪽)과 한문필사본인 연사록(오른쪽). 의왕시사편찬위원회 제공
조선 철종때 중국으로 파견된 공식사절단의 행적을 한글로 기록한 기행문집 연행록(왼쪽)과 한문필사본인 연사록(오른쪽).
의왕시사편찬위원회 제공


의왕시는 21일 의왕문화원에서 개최하는 의왕시사 발간기념회를 통해 연행록을 공개했다.

의왕시사편찬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입수한 이 한글 연행록은 철종 때 품산(品山) 김직연(1811∼1884)이 작성한 문집으로, 국내에서 5번째로 발굴된 것이면서 현존하는 마지막 사행(使行)기록이다.

의왕시사편찬위원회에 따르면 이 연행록은 철종 9년인 1858년 10월26일부터 이듬해 3월20일까지 동지사(冬至使·조선시대에 명과 청에 정기적으로 파견한 사신)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동행한 김직연이 기록한 기행문집이다.

모두 3권으로 된 연행록은 정사(正使)인 이근우(1801∼1872)를 비롯해 310명으로 구성된 사신단이 대궐을 떠나 중국 베이징에 이르는 과정, 베이징에 도착한 다음날부터 사행 목적을 완수하고 떠나기 전날까지의 상황, 베이징을 떠나 귀국해 복명하기까지의 과정으로 각 권을 구분했다.

강남대 경기문화연구소 김근태 박사는 “조선시대에 모두 870차례에 걸쳐 중국 명과 청에 공식 외교사절을 보냈고 이를 기록한 연행록은 100여편이 전하지만 이 중 한글본은 드물어 학술적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확인된 한글 연행록은 허목의 ‘죽천행록’(1624년 10월∼1625년 10월), 홍대용의 ‘을병연행록’(1765년 11월∼1766년 4월), 이계호의 ‘연행록’(1793년 8∼10월), 서유문의 ‘무오연행록’(1798년 10월) 등이 있다. 이번에 발굴된 연행록은 한글본과 함께 한문필사본 ‘연사록(燕 錄)´도 발견돼 이를 비교 분석하면 한글과 한문으로 구분해 기록을 남긴 의도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학계는 보고 있다.

의왕시는 이날 연행록 한글본 외에 일제 초기에 세금을 거둘 목적으로 만든 지적도인 ‘과세지견취도(課稅地見取圖)’도 공개했다.

수원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07-11-22 2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