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생물대백과 사전

조선시대 생물대백과 사전

문화전문 기자
입력 2007-08-17 00:00
업데이트 2007-08-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경(詩經)’은 기원전 11세기 서주 초기부터 기원전 6세기 동주 중기에 이르는 500년 동안 중국 북방 지역의 운문(韻文) 305편을 모은 일종의 노래책이다.

공자는 ‘논어’에서 “사람이 ‘시경’을 배우지 않으면 담장을 마주보고 서 있는 것과 같다.”고 중요성을 역설했다. 제자들에게는 ‘시경’을 읽으면 “날짐승과 들짐승, 풀과 나무의 이름에서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다.(多識於鳥獸草木之名)”고 충고했다.

실제로 ‘시경’에 나오는 하나하나의 시에는 예외가 없을 만큼 온갖 동물과 식물의 이름이 언급돼 있다. 예나 지금이나 ‘시경’을 공부하는 이들은 다양하기 이를 데 없는 동식물의 출현에 혼란을 겪는 것도 사실이다.

청대에 새로운 학풍으로 자리잡은 고증학은 공자의 가르침을 실현하고자 했다. 그 결과 ‘시경’에 나오는 물명(物名·사물의 이름)을 풀이한 연구서가 줄지어 나왔고, 이런 분위기는 조선과 일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명다식(詩名多識)’(정학유 지음, 허경진·김형태 옮김, 한길사 펴냄)은 바로 ‘시경’에 등장하는 생물의 정체성을 규명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무이한 저술이다. 쉽게 말해, 시경에 이름이 나오는 동식물을 망라한 ‘생물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지은이 운포 정학유(1786∼1855)는 다산 정약용의 아들이다.‘시명다식’은 그가 세상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하고자 했던 아버지의 뜻을 올곧게 이어받았음을 증명한다.

‘다식(多識)’은 제자들에 대한 공자의 충고에서 따왔다. 그러니 ‘시명다식’이란 ‘시경에 나오는 동식물의 이름에서 배울 수 있는 많은 지식’쯤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정학유는 주자의 ‘시전(詩傳)’을 비롯해 육기의 ‘모시초목조수충어소(毛詩草木獸蟲魚疏)’, 이시진의 ‘본초강목(本草綱目)’, 곽박의 ‘이아주(爾雅注)’ 등 매우 다양한 자료를 인용했다. 본문은 식물 170종, 동물 156종 등 326가지 생물을 ▲풀(識草) ▲곡식(識穀) ▲나무(識木) ▲푸성귀(食菜) ▲날짐승(識鳥) ▲길짐승(識獸) ▲벌레(識蟲) ▲물고기(識魚)의 8개 항목으로 나눈 뒤 각각 이름을 제시하고 설명했다. 자료 사이에 혼란이 있을 때는 자신의 생각을 마지막에 적어 넣었다.3만 5000원.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2007-08-17 23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