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댄싱 채플린’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댄싱 채플린’

입력 2012-01-27 00:00
업데이트 2012-01-2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감독의 사심이 영화에 개입됐을 때

발레리노 루이지 보니노가 ‘코펠리아’(프랑스 작곡가 L 들리브의 발레) 공연에 서려고 이탈리아의 밀라노에 도착한 때였다. 안무를 맡은 롤랑 프티는 보니노를 보다 새로운 창작극을 머리에 떠올렸다 한다. 보니노가 찰리 채플린으로 분장하고 춤을 추면 어떨까, 하는 생각은 발레극 ‘댄싱 채플린’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1991년의 초연 이후 170여회에 걸쳐 ‘댄싱 채플린’ 무대에 오른 보니노는 이제 환갑을 지난 나이가 됐다. 프티의 아내인 지지 장메르가 ‘댄싱 채플린’을 영상으로 남기자는 기획을 제안했고, 평소 보니노와 친분이 깊은 발레리나 쿠사카리 타미요와 그의 남편이자 영화감독인 수오 마사유키가 연결되기에 이른다. 때마침 수오는 아내의 마지막 무대 모습을 카메라로 기록하고 싶었던 차였다.

이미지 확대
영화 ‘댄싱 채플린’(26일 개봉)의 전반부는 1시간에 걸쳐 제작 과정을 수록했다. 공연 60일 전 일본에 도착한 보니노와 무용수들이 쿠사카리와 연습을 시작한다. 그 사이 수오는 밀라노에서 프티와 만나 영화에 관한 의견을 나누고, 스위스로 가서 채플린의 아들 유진으로부터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들어본다. 영화의 후반부 1시간 10분여는 도호 스튜디오에서 펼쳐진 공연을 카메라에 담았다. 2막 20장의 발레극은 영화화 과정에서 1막 13장으로 재구성됐다.

영화 ‘댄싱 채플린’의 기본 아이디어는 좋다. 은막 위에 재현되는 무용계의 거장 프티의 발레극은 그 자체로 가슴 설레는 유혹이다. 문제는 영화로 어떻게 구현하느냐다. 좋은 의도가 곧 좋은 영화를 의미하는 건 아니다. ‘댄싱 채플린’이 덜컹거리는 이유 중 하나는 아내를 향한 수오의 사랑이다. 자고로 감독은 사적인 감정을 영화 위에 두면 안 되는 것이, 그로 인해 영화에 독이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피터 보그다노비치와 배창호가 경력의 정점에서 ‘데이지’와 ‘황진이’를 만들면서 저지른 실수를 수오는 ‘댄싱 채플린’에서 반복한다. 게다가 수오와 쿠사카리는 전성기도 아닌데 말이다. ‘댄싱 채플린’의 핵심은 채플린으로 분한 보니노임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그와 쿠사카리 사이에서 균형을 잡지 못하고 뒤뚱거린다. 일례로 쿠사카리의 연습 장면에 지나칠 정도로 많은 시간을 할애함으로써 영화는 자신의 몸을 희생한다.

결과가 좋았다면 구태여 수오의 연정을 탓할 필요까진 없을지도 모른다. ‘댄싱 채플린’은 무대극을 영화로 옮긴 까닭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작품이다. 나쁜 영화라는 뜻이다. 보니노는 역을 맡은 이후 채플린 영화를 의도적으로 보지 않았다고 한다. 영화를 재해석하는 게 아니라 채플린을 자기식으로 창조하기 위해서였다. 그에 비해 영화 ‘댄싱 채플린’은 발레극이 스크린으로 옮겨 와 아무런 미덕도 얻지 못한 경우다. 공연의 녹화 본을 극장에서 상영한다 해서 그것을 영화라 부르지는 않는다. 역사상 가장 유명한 코미디언과 익숙한 방식으로 재회하는 것, 그 이상이 요구되는 작업이었지만 ‘댄싱 채플린’은 공연 녹화 본과 메이킹 필름을 결합하는 수준에 그쳤다. 한때 드라마의 장인이었던 감독이 신인 다큐멘터리 작가처럼 구는 모습을 보는 건 괴로운 일이다. 필자의 말이 의심스럽다면 같은 해에 빔 벤더스가 비슷한 성격의 다큐멘터리 ‘피나’에서 거둔 성취와 비교해보길 바란다.

영화평론가

2012-01-27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