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호위부대는 어떻게 운영됐나… ‘장용영대절목’ 번역서 첫 발간

정조 호위부대는 어떻게 운영됐나… ‘장용영대절목’ 번역서 첫 발간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2-01-11 16:18
업데이트 2022-01-11 16: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용영대절목 1권 출간

이미지 확대
장용영대절목 번역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장용영대절목 번역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조선의 22대 왕 정조. 순탄하게 세손으로 책봉됐지만 11세에 아버지인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은 뒤부터 위태로운 시간이 이어졌다. ‘죄인의 아들’이라는 멍에는 그가 왕이 되는 것을 쉽게 허락하지 않았다. 세손이면서 세자의 지위를 갖고 있는 그를 반대하는 세력이 갖은 방해 공작을 펼쳤고 신변의 위협까지 느껴야 했다. 영조가 승하한 다음해인 1776년 가까스로 왕 위에 오른 정조는 우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했다.

그 가운데 하나로 정조의 신변 보호를 위해 창설한 ‘호위부대’ 장용위(壯勇衛)가 있었다. 1784년 홍복영의 역모사건이 있은 지 1년 만에 약 500명의 인원들로 구성한 군영으로 이후 장용영(壯勇營)으로 명칭을 바꿨고, 도성 중심 내영과 외곽 성곽 중심의 외영으로 확대해 기존의 5군영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됐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장용영의 연혁과 운영의 시행 규칙을 정리한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을 처음 번역해 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3권으로 구성된 장용영대절목 가운데 이번에 발간한 1권은 ‘관직’부터 ‘곤치’까지 33개 항목을 번역했다. 번역문과 원문을 차례로 싣고, 뒤쪽에는 영인본(복제본)을 수록했다.

책에는 관리 임명 방법과 승진 방법, 각종 군병 창설 인원수와 증감, 건물과 도장, 상호 간에 지켜야 할 예절, 군대를 지휘하는 신호법, 군사들에게 음식을 베풀어 위로하는 일, 곤장 치는 방법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겼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측은 “장용영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중앙 군영으로서 면모를 살펴보며 장용영에 대한 정조의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책은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수원시정연구원 수원학연구센터의 연구지원을 받아 번역 및 출간됐고, 1년간 5명의 연구원이 해제 및 번역을 담당했다. 앞으로 2권과 3권도 추가 발간해 장용영대절목 번역 완결편을 최종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