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마스는 대체 누가 만든 거야” 궁금한 당신께

“X-마스는 대체 누가 만든 거야” 궁금한 당신께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12-21 00:18
업데이트 2023-12-21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날의 기원 쓴 ‘크리스마스는 왜?’

이미지 확대
크리스마스는 왜?(비아북)
크리스마스는 왜?(비아북)
크리스마스의 상징적인 영화 중 하나인 ‘러브 액츄얼리’는 크리스마스 7주 전 시점에서 시작된다. 여러 커플의 얽히고설킨 이야기를 풀어내는 영화에서는 크리스마스와 관련한 다양한 전통들을 만날 수 있다. 한국에서는 크리스마스가 전통 명절은 아니지만 누구든 모른 척 지나치기 어렵다. 연인들, 아이가 있는 부모, 심지어 크리스마스를 외로이 보내야 하는 솔로들까지도. 선물을 고르거나 식사 장소를 예약하다 지친 이들이라면 한번쯤 ‘크리스마스는 왜 이렇게 요란스럽게 기념해야 하는 것일까’라는 생각을 해 봤을 것이다.

●산타도 캐럴도 실상은 ‘만들어진 것’

콜린스 영어사전 편집자로 ‘걸어 다니는 어원사전’, ‘문장의 맛’ 저자로 알려진 마크 포사이스도 궁금했던 모양이다. ‘기발한 크리스마스 백과사전’이라는 부제가 붙은 ‘크리스마스는 왜?’(비아북)라는 책을 통해 크리스마스는 왜 12월 25일이며 사람들은 왜 크리스마스를 그렇게 고대하고 기념하며 즐기는 것이냐는 다양한 질문을 던지면서 그 역사적, 언어적 기원을 찾아 나섰다.

12월의 시작과 함께 여기저기서 들리는 캐럴은 처음에는 예배할 때나 교회에서 불리던 것이 아니라 술집에서 불렸던 노래라고 한다. 창작 캐럴이 아닌 옛날 캐럴 중에서조차 크리스마스와 어울리지 않는 곡들을 간혹 만날 수 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또 크리스마스카드는 ‘라운드 로빈’이라는 해군의 선상 반란 전통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아이·가족과 함께하는 전통으로 진화

게다가 청교도들이 세운 나라인 미국은 원래 크리스마스를 혐오하고 ‘크리스마스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원칙으로 세워진 나라임에도 지금은 크리스마스를 가장 요란하게 보내는 나라가 됐다는 대목을 만나면 당혹스럽기까지 하다.

저자는 우리가 크리스마스 하면 떠올리는 산타클로스, 트리, 선물, 캐럴 등은 그야말로 ‘만들어진 것’들이라고 말한다. 영국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이 “낡은 것처럼 보이고 실제로 낡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른바 ‘전통’들은 실상 기원을 따져 보면 극히 최신의 것일 따름이며, 종종 발명된 것”이라고 한 말이 떠오른다.

저자는 “아이들에게 크리스마스는 받을 수 있는 온갖 것들이지만 어른들에게 크리스마스는 상실해 버린 온갖 것”이라며 “트리를 꾸미고, 사랑하는 이들에게 카드를 쓰고, 잠든 아이 머리맡에 선물을 놓은 뒤 살금살금 뒤돌아 나오는 이유는 이제는 이 모든 것이 꼭 필요한 전통이 됐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가치를 갖게 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유용하 기자
2023-12-2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