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의 사람과 땅의 사람은 어떻게 살면 좋을까[어린이 책]

숲의 사람과 땅의 사람은 어떻게 살면 좋을까[어린이 책]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04-07 01:09
업데이트 2023-04-07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숲의 사람, 몽이
정순영 지음/봄눈/120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보르네오섬 깊은 숲에서 가족과 함께 살던 오랑우탄 몽이는 어느 날 사람에게 잡혀 한국의 한 연구소로 보내진다. 종이 다른 동물 간 장기이식을 실험하는 이곳에서 영장류 실험동물 ‘8번’이 된 몽이는 같은 처지의 오랑우탄 오딘, 일본원숭이 미미, 긴꼬리작은원숭이들, 유전자 조작 미니돼지 리뉴를 만난다.

맛있는 과일을 잔뜩 주기에 처음엔 지상낙원인 줄 알았지만, 점점 알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난다. 사람들의 말을 조금은 알아들을 수 있는 몽이는 이곳에서 심상찮은 일이 벌어질 것을 알게 되고 다른 동물들과 탈출을 계획한다.

오랑우탄은 말레이어 ‘Orang’(사람)과 ‘Utan’(숲의)에서 유래한 이름의 영장류다. 책은 ‘숲의 사람’인 몽이의 시선으로 ‘땅의 사람’인 인간들을 돌아본다. 잡혀 온 동물은 그저 착하고, 인간은 무조건 악하다는 식으로 나누지 않는다. 연구원인 유나는 “기약 없이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고 말하고, 다른 연구원 지우는 이를 이해하면서도 동물들의 죽음을 안타까워한다.
이미지 확대
눈부신 생명공학의 발전 속에는 인간을 위해 실험군이 된 영장류와 미니돼지의 희생이 있었다. 그들에게도 생명으로서 기본권이 있을 터다. 무조건 인정하기도, 그렇다고 모두 부정하기도 어렵다. 어떻게 합의하고 어떤 기준을 만드느냐가 더 중요할 수 있다.

동화는 오랑우탄 몽이를 통해 이런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게 한다. 저자는 10여년 전 실제로 보르네오섬에서 살면서 다양한 종류 영장류와 함께 지냈던 경험을 살려 동화에 녹였다. 생생하게 살아 있는 캐릭터들과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이 문제에 좀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을 듯하다.

숲의 사람과 땅의 사람이 어떻게 살아갈지 섣불리 결론을 강요하기보다 생각하는 힘을 키워 주는 게 더 좋겠다.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라면 동화를 읽은 뒤 부모가 함께 토론해 보길 권한다.

김기중 기자
2023-04-07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