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포스트 OTT’ 시대, K콘텐츠의 미래는?...‘2022 콘텐츠가 전부다’

‘포스트 OTT’ 시대, K콘텐츠의 미래는?...‘2022 콘텐츠가 전부다’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1-12-31 14:58
업데이트 2021-12-31 14: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1년은 드라마 ‘오징어 게임’과 ‘지옥’, BTS 열풍 등으로 K콘텐츠가 명실상부 세계의 주류 문화로 인정받은 역사적인 해였다. 그렇다면 내년에도 K콘텐츠는 승승장구할 수 있을까.

‘2022 콘텐츠가 전부다’는 이러한 독자들의 궁금증에 대해 쉽고도 흥미로운 해답을 내놓는다. 콘텐츠 및 산업계 전문가 4인은 K드라마와 영화, OTT, SNS, 게임, 블록체인, NFT 등 국내 콘텐츠 업계의 핫 이슈를 꼼꼼히 톺아보고 짚고 향후 전망을 내놓는다.

저자들은 코로나 팬데믹은 오히려 IT 기술로 무장한 한국 콘텐츠 산업이 더욱 크게 진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짚었다. 오프라인 콘서트를 능가하는 최첨단 언택트 콘서트가 한 번에 수백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고, 여기에 관련 굿즈의 판매와 아티스트 소통 채널까지 갖추면서 시장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 형상이다. 한마디로 K-콘텐츠 산업에 ‘무어의 법칙’이 적용되고 있으며, 메타버스와 NFT의 출현은 거의 무한대의 콘텐츠 시장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아울러 책은 언택트 시대에도 해답은 역시 콘텐츠에 있다고 분석하면서 슈퍼 IP를 만드는 ‘세계관 플레이’에 주목한다. 국내의 경우 게임과 웹툰이 출발점이겠으나 지금은 K-팝 산업과 드라마, 예능으로까지 이어지며 세계관은 말 그대로 무한한 확장을 거듭하고 있다. 초기에 마케팅과 브랜딩 차원의 비용 효율성을 위해 만들어졌던 세계관은 이제 콘텐츠 소비자의 참여를 이끄는 ‘떡밥’으로서 그 역할이 재정의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K콘텐츠 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책에서는 콘텐츠 직거래 시장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중심이 되는 ‘크리에이터 3.0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크리에이터가 플랫폼 수익에 의존하지 않고 수익 시스템을 직접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앞으로는 개별 크리에이터의 역량과 콘텐츠 자체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되면서 콘텐츠 직거래 시장이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현재 전 세계의 미디어 주도권은 사실상 미국이 쥐고 흔들고 있지만 콘텐츠와 스크린, 시청자만 남게 될 앞으로의 ‘포스트 OTT’ 시대에 한국은 K-콘텐츠 중심의 새로운 판으로 뒤집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저자들은 “K-콘텐츠를 넷플릭스나 디즈니, 아마존이 아닌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전 세계에 직접 유통하는 것이 콘텐츠 직거래가 가능한 ‘포스트 OTT’의 핵심 비전”이라고 설명한다. 이어 “천운처럼 거머쥔 K-콘텐츠 르네상스를 등에 업고, 우리를 승자로 만들어주는 것은 다름 아닌 ‘콘텐츠’이며, 그 무엇도 무너뜨리지 못하는 콘텐츠 세상의 답도 결국 콘텐츠에 있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2020년 처음 발간된 ‘콘텐츠가 전부다’ 시리즈의 세번째 책으로 콘텐츠·미디어 산업 전문가인 대표 저자 노가영을 필두로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을 장기간 분석한 애널리스트 박정엽, 팬덤 7백만명을 보유한 글로벌 틱톡커 듀자매의 허영주, 자타공인 서비스 덕후 이정훈 등 업계 전문가 4인이 집필했다. 이번 시리즈부터는 종이책과 비디오북이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노가영 작가는 “이 책은 2019년경 고착화돼 있던 미디어 판에서 다양한 플랫폼들이 너도나도 양질의 콘텐츠를 독점으로 제공하려는 움직임에서 산업의 변화를 분석하고 미래를 제언하고자 기획된 트렌드북에서 시작됐다”면서 “글로벌 미디어 시장에서 코로나19와 팬데믹의 장기화는 ‘콘텐츠가 더 전부’인 시대를 견인시키며 세번째를 맞는 시리즈북의 의도가 더욱 입체적으로 해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