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우린 지금도 ‘패거리 싸움’ 못 벗어나… 봉강 선생의 ‘타협의 품격’ 배웠으면

우린 지금도 ‘패거리 싸움’ 못 벗어나… 봉강 선생의 ‘타협의 품격’ 배웠으면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1-05-05 20:38
업데이트 2021-05-06 02: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설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 펴낸 원로 언론학자 김민환 명예교수

이미지 확대
김민환 고려대 미디어학부 명예교수는 “우리 사회가 봉강 정해룡 선생의 통합과 포용의 정신을 이어받길 바라는 심정”이라면서 소설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를 쓴 계기를 전했다. 문예중앙 제공
김민환 고려대 미디어학부 명예교수는 “우리 사회가 봉강 정해룡 선생의 통합과 포용의 정신을 이어받길 바라는 심정”이라면서 소설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를 쓴 계기를 전했다.
문예중앙 제공
“4차 산업혁명 길목에 접어들었지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자기와 의견이 다르면 무조건 ‘토착 왜구’니 ‘빨갱이’니 하며 적으로 모는 패거리 싸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해방 직후 통합을 꿈꾼 봉강 정해룡(1913~1969) 선생의 정신과 품격을 정치권이 이어받길 바라는 마음에 책을 썼습니다.”

강단에서 내려온 뒤 소설가로 전향한 원로 언론학자 김민환(76) 고려대 미디어학부 명예교수가 세 번째 소설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문예중앙)로 독자들에게 돌아왔다. 일제강점기 전남 보성 지주가문에서 태어나 가산을 독립운동 자금에 보탠 봉강의 생애 궤적을 추적하며 현대사의 굴곡을 조명한다.

최근 전화로 만난 김 교수에게 왜 봉강인지 묻자 “분단 시대의 잔재를 없애고 좌우가 타협하며 품격 있는 사회로 가려면 봉강의 일대기를 알아야 한다”면서 “그는 순리를 위한 일이라면 역풍도 뚫고 날아가는 분”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고교 동창인 정훈상에게서 집안 내력을 듣고는 봉강 선생에게 관심을 갖게 됐다. 봉강은 해방 후 단독정부를 주장한 이승만, 김일성과 달리 몽양 여운형의 중립화 통일 노선을 지지하며 포용의 정신을 강조했다. 일본 유학파 출신 동생(정해진)은 월북하고, 여순사건과 6·25전쟁 등으로 집안은 고역을 겪는다. 정해진의 아들이었던 친구는 군 복무 도중인 1969년 아버지를 따라 월북했다.
이미지 확대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 책표지. 문예중앙 제공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 책표지.
문예중앙 제공
그는 “선생이 6·25 당시 이념 대립에 따른 보복 살인의 피바람을 막으려고 인민위원장을 맡아 좌익으로 분류됐지만 보성의 우익 인사들이 훗날 추모비를 세울 정도로 좌우를 초월해 존경받았다”면서 “이런 경세가가 필요한 사회에서 봉강의 실패는 곧 시대의 실패”라고 규정했다.

신문방송학을 전공한 김 교수는 원래 기자를 한 뒤에 소설가가 되려 했다. 친구 정훈상이 대남 방송에서 자신을 거론하는 등 ‘요주의 인물’로 찍히면서 학문의 길을 택하게 됐다. 2010년 은퇴하고 전남 보길도에 내려와 문학 청년의 옛 꿈을 불태우고 있다.

김 교수의 다른 소설 ‘담징’(2013)과 ‘눈 속에 핀 꽃’(2018)도 이번 작품과 마찬가지로 역사를 다뤘다.

김 교수는 “한국 언론사를 오래 연구하다 보니 역사물을 쓰게 됐다”며 “1년가량 푹 쉰 뒤 연애 소설에 도전할까 생각 중”이라며 웃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1-05-06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