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질병 퇴치하자”… 세상 위한 정의로운 투자

“질병 퇴치하자”… 세상 위한 정의로운 투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1-03-04 17:24
업데이트 2021-03-05 01: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우리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모건 사이먼 지음/김영경·신지윤·최나영 옮김/알에이치코리아/280쪽/1만 5000원

미국의 모든 재단은 재원의 5% 이상을 기부해야 하는 법적 의무가 있다고 한다. 그럼 95%는? 특별한 규정이 없다. 환경을 해치는 기업에 투자를 해도 문제 될 게 없다. 그렇다면 이 95%를 재생에너지 기업 같은 ‘착한 기업’에 투자하도록 유도하면 어떨까. 보다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이처럼 ‘돈과 가치관을 통합한 투자 기법’을 임팩트 투자라고 한다. 여기서 ‘임팩트’는 사회적, 환경적 성과를 뜻한다. 세계 시장 규모가 800조원에 이를 만큼 주목받는 분야다.

‘우리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은 임팩트 투자의 현황을 담았다. 저자는 임팩트 투자사 ‘캔디드그룹’ 의장. 1500억 달러(약 170조원)에 달하는 돈의 투자 방식을 실제 결정한 이다. 10년 동안 자선단체에서 일한 저자가 방향을 튼 건 기부와 원조 등 종전의 자선 사업에서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다. 자선은 대증요법일 뿐 인류의 삶 전체를 바로잡지는 못한다. 결국 중요한 건 95% 자금의 올바른 투자다.

게이츠재단이 좋은 예다. 한때 이 재단은 아프리카 나이저강 일대 주민들의 질병 퇴치를 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기부했다. 동시에 이 강에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석유 회사들에도 투자했다. 결과적으로 95%가 야기한 문제를 해결하려 5%를 기부하는 꼴이 됐다. 악순환 고리를 끊은 게이츠재단과 달리 미국 내 대다수 자선단체들은 여전히 이 상태다. 책은 이 같은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임팩트 투자의 이론과 실제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다만 임팩트 투자를 위한 개인의 연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미흡하다. “끔찍한 투자를 자행할 가능성이 있는 은행과 결별할 것” 등 몇 가지를 주문하고 있으나 95% 자금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보기는 어렵다. 결국 임팩트 투자가 소수의 투자 전문가 영역으로 고착화되면 종전 사회활동가들이 제기한 여러 문제들이 다시 설득력을 얻게 된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1-03-05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