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본 물결 밀려들던 中 톈진 조선족 여공의 ‘격동 1998’

자본 물결 밀려들던 中 톈진 조선족 여공의 ‘격동 1998’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1-16 17:16
업데이트 2020-01-17 0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천진 시절/금희 지음/창비/216쪽/1만 4000원

동북 지방서 도시 이주했던 여공
개혁개방기 겪은 흥분·한계 묘사
“잘살아 보세” 삶의 몸부림 생생
이미지 확대
중국 지린성 출신인 금희 작가는 2007년 ‘연변문학’에서 주관하는 윤동주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이어 2014년 ‘창작과비평’ 봄호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했고 이듬해 출간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으로 신동엽문학상을 수상, 한국 문단에 이름을 알렸다. ⓒ송곳 창비 제공
중국 지린성 출신인 금희 작가는 2007년 ‘연변문학’에서 주관하는 윤동주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이어 2014년 ‘창작과비평’ 봄호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했고 이듬해 출간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으로 신동엽문학상을 수상, 한국 문단에 이름을 알렸다.
ⓒ송곳 창비 제공
1998년, 초등학교 4학년 때 느닷없이 중국 톈진(천진)으로 이사 간 친구가 있었다. 전자회사에 근무하던 아버지가 그곳 주재원으로 발령이 났다고 했다. 지금도 타국의 대도시를 설명할 때 벌어지던 친구의 입과 커지던 동공을 기억한다. 20여년 전, 그때만 해도 중국보다는 한국이 더 선진적이었던 시절임에도, 대국이 주는 포스에 압도됐달까. 친구를 쳐다보던 뭇 아이들의 얼굴이 선망으로 가득 찼다.

금희 작가의 소설 ‘천진 시절’은 조선족 여성인 상아가 겪은 ‘1998년의 톈진’을 주 배경으로 한다. 작가는 이를 기점으로 중국 동북 지방 출신인 상아가 청운의 꿈을 품고 대도시 톈진으로 가기까지의 과정, 함께 ‘천진 시절’을 보냈던 정숙 언니와 20년 후 재회하는 모습을 자유자재로 오간다.

상아는 어릴 적 동창 무군과 그야말로 부지불식 간에 약혼 관계에까지 이른다. 그것은 먼저 톈진에 정착한 무군의 누나가 이들의 일자리를 주선한 데 따른 것으로, 상아가 어쩔 수 없이 감당하게 된 선택이었다. 무군이 좋은지 싫은지 확실하지 않으면서도, 일단 고향인 남산촌을 떠날 수 있다는 게 좋았다. 그는 소설의 표현을 빌리면 ‘사은품이 마음에 들어 지갑을 열 수밖에 없는 사람들처럼’(61~62쪽) 경황없이 지갑을 열었다.

이처럼 시골에서 대도시로 올라온 ‘여공 서사’는 한국에서도 흔하기에 기시감이 든다. 그러나 가만 들여다보면, 스스로가 조선족 여성인 작가가 써내려 간 중국의 현실은 그 결이 우리와는 미세하게 다르다. 1990년대 중국의 개혁개방시기, 사회주의 국가에 불어닥친 자본주의 물결 속에서 변방의 소수민족이라는 정체성, 한국어·중국어 능력으로 매겨지는 계급화 등은 보다 배타적이고 첨예한 감이 있다. 한국인 소유의 전자회사에서 부공장장으로 일하는 무군의 누나가 사장과 나누는 ‘자본주의적인 대화’를 보며 상아는 말한다. ‘‘홍두문건’(중앙 당정 지도부에서 하달하는 문건)으로 시작하여 과장된 결의로 마치는 천편일률적인 사업 단위 공무원들의 회의와는 많이 다른 분위기였다. 나는 그들의 대화방식에서 모종의 설렘과 흥분을 느꼈다.’(97~98쪽)
이미지 확대
주인공 이름인 상아가 남편의 불사약을 몰래 먹고 혼자 월궁으로 날아간 중국 설화 속 인물인 데서 기인하듯, 톈진으로 온 상아도 필연적으로 무군을 떠나게 된다. 무군은 동네에서 고물을 주워다가 중고 침대를 만들어 줄 수는 있어도, 새 침대를 사 줄 수는 없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그 시절을 함께 지냈던 공장의 정숙 언니도, 자신만 바라보던 남자 희철을 그렇게 떠났다. 이후 한국에서 만난 남편과 건조한 관계를 유지하는 상아와 도박과 여자 문제 끝에 남편과 이혼한 정숙. 그러나 착한 무군·희철과 결혼했어도 지금보다 더 나았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남성에게 의지해서만 지위 상승이 가능했던 시절, 그녀들의 선택을 무조건적으로 비난할 수도 없다. “만약이라는 게 없다는 거 아는데, 그래도 다시 한 번 그 시간이 주어진다면 어떨 것 같아요?”(175쪽)라는 상아의 물음이 무의미한 이유다.

20여년 전 톈진으로 떠나 그곳에서 청소년 시절을 보낸 친구는 한국으로 돌아왔다. 상아는 고향인 남산촌에서 톈진을 거쳐 서울에 갔다가 중국 동북의 도시 Z에 정착했다. “결국 한 바퀴 돌고 다시 제자리로 온 거죠”라는 말과 함께. 정숙은 또 다른 대도시인 상하이에 산다. 어디를 갔든, 다시 돌아왔든 그것은 가치 판단의 문제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힘으로는 맞서기 힘든 격변의 환경 속에서도 끊임없이 더 잘살고자 했던 몸부림이 있었다는 것, 그 자체다. 소설 ‘천진 시절’은 그런 시절을 다시 상기하게 한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1-17 3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