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인간의 욕망이 만든 치료제, 만병통치약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인간의 욕망이 만든 치료제, 만병통치약

입력 2019-10-31 17:44
업데이트 2019-11-01 0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약국에 없는 약 이야기/박성규 지음/엠아이디/336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약의 사전적 정의는 ‘병이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바르거나 주사하는 물질’이다. 그런데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약의 의미는 폭넓어서 간단히 정의하기 쉽지 않다. 모기약이나 쥐약은 생물을 죽이는 물질이지만 인간에게 유용하므로 약이라고 부른다. ‘엄마 손이 약손’이라고 할 때의 약은 진짜 약이라기보다는 암시에 가깝다. 어떤 물질은 약이면서 동시에 독으로 규정되기도 한다. 의료용 대마가 합법화됐지만 마약 대마는 여전히 불법인 것처럼 말이다. 현대를 벗어나 약이 처음으로 발명되기 시작한 과거로 돌아간다면 약의 구분은 더욱 모호해질 것이다.

‘약국에 없는 약 이야기’는 현대의 의약품에 한정된 약의 정의를 벗어나 역사상 약으로 간주돼 왔던 수많은 물질을 살펴본다. 그중 상당수는 어딘가 미심쩍고, 오늘날에는 약으로 여겨지지 않는 것들이다. 특정 지역의 흙, 인간의 피와 간, 미라 가루처럼 이상하고 기괴한 물질들이 한때는 ‘만병통치약’으로 이름을 날렸다. 동물의 뿔, 위석, 사향은 ‘만능해독제’에 첨가되곤 했다. 지금은 해독제로서의 근거를 찾기 어려운 물질들이다. 고통에서 벗어나 건강한 삶을 오래 누리고자 했던 인간의 욕망이 주술, 신비주의와 결합한 것이다. 역사상 명약으로 불렸던 것 중 상당수는 단지 플라세보 효과에 기반했던 것임이 오늘날 밝혀졌다.

약물과 떼어 놓을 수 없는 마약의 역사도 흥미롭다. 현대사회에서 만병의 근원으로도 지목되는 담배는 과거엔 치료약이자 질병 예방제로 여겨졌다. 연구가 축적되며 담배의 중독성과 유해성이 드러나자 담배회사들은 담배에 건강한 이미지를 덧입혀 광고하거나 암의 발생 이유를 담배 외적인 원인에 돌리는 등 위험을 은폐하려 들었다. 대마의 경우는 오랫동안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1970년대를 기점으로 일급 마약으로 분류됐다. 그런데 최근에는 기술력의 발달로 대마 약제 개발이 유용해지자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한 국가가 늘어났다. 엑스터시는 마약으로 분류되지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 효과가 예상돼 치료제로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좋은 약이 나쁜 약이 되고, 나쁜 약이 좋은 약이 되기도 한다. ‘약이란 무엇인가.’ 결코 답하기 쉽지 않은 질문이다. 명약과 엉터리 약을 오가는 약물의 역사는 끊임없이 무언가 나은 것을 찾아 나섰던 인간의 복잡한 욕망을 반영한다. 어쩌면 중요한 것은 그 욕망 자체를 재검토해 보는 일인지도 모른다.



2019-11-01 3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