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북 1945년 신탁통치 찬반 다툼 지금 한반도의 모순들을 형성했죠”

“남북 1945년 신탁통치 찬반 다툼 지금 한반도의 모순들을 형성했죠”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7-01-08 17:58
업데이트 2017-01-08 1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 현대사 산책’ 펴낸 안문석 교수

“1945년 해방 이후 남북이 신탁통치 찬성과 반대로 갈라져 싸울 게 아니라 냉정한 시선으로 모스크바삼상회의에 포함됐던 한반도의 통일임시정부 수립안대로 먼저 한국인만의 임시정부를 세우고, 나중에 신탁통치를 배제하는 방안을 강구했다면 역사는 달라졌을 것입니다. 김일성과 이승만이 각자 권력에 매몰돼 분단을 도모한 것이에요.”

이미지 확대
안문석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안문석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미지 확대
●“北 70년 현대사 집필 구상 20여년 만에 완성”

안문석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금 한반도가 짊어지고 있는 모순들이 모두 1945년 그해에 형성되고 숙성됐다고 인식한다. 안 교수가 1945년 해방부터 지난해 북한의 5차 핵실험까지 북한의 굵직한 사건들을 촘촘히 기록한 ‘북한 현대사 산책’(전 5권·인물과사상사)을 펴낸 근원적인 문제의식이기도 하다.

국내에서 70년간의 북한 현대사를 정리해 펴낸 건 안 교수가 사실상 처음이다. 지금까지 북한 현대사에 관한 책으로는 역사문제연구소가 기획한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와 와다 하루키 일본 도쿄대 명예교수가 쓴 ‘와다 하루키의 북한 현대사’ 정도가 손에 꼽힌다.

그가 쓴 초고 원고는 5500장. 직접 수집해 온 1차 사료에 기반해 북한 현대사를 기술했다. 안 교수는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을 뒤져 한국전쟁 당시 미군이 김일성 집무실과 노동당 당사에서 확보한 문서들을 샅샅이 복사했다. 그리고 북한 자료인 ‘조선통사’, ‘조선전사’, ‘김일성 저작 선집’ 등도 진위를 가려 증거 위주의 ‘실증적 기술’을 원칙으로 재구성했다.

안 교수는 8일 “북한 현대사를 통시적으로 다뤄 보겠다는 구상을 한 지 20여년 만에 책으로 완성하게 됐다”며 “지난 70년간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군사 등 전 분야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게 하자는 생각으로 썼다”고 말했다.

5권으로 구성된 북한 현대사는 해방과 김일성 체제를 다룬 1권(1945~1949년), 2권인 전쟁과 사회주의 건설(1950~1959년), 3권 주체사상과 후계체제(1960~1979년), 4권 김정일과 고난의 행군(1980~1999년), 5권 김정은과 북핵 위기(2000~2016년)로 구분된다.

●“56년 ‘8월 종파 사건’이 김일성 독재 분기점”

안 교수가 꼽는 북한 현대사의 가장 드라마틱한 대목은 무엇일까. 북한에서는 유일했던 ‘반김일성 운동’인 1956년의 ‘8월 종파 사건’을 꼽는다. 이미 그해 2월부터 김일성에 대해 수령이라는 호칭이 사라지고 있었고, 개인숭배에 대한 자제 분위기도 나타났다. 최창익 등 연안파와 박창옥 등 소련파, 오기섭 등 국내파는 1956년 8월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김일성을 위원장직에서 축출한다고 발표했다. 김일성에 대한 개인숭배와 독재적인 당 운영도 비판대에 올랐다. 하지만 쿠데타는 김일성의 반격으로 소련파와 연안파의 숙청이라는 비극으로 끝났다.

안 교수는 “8월 종파 사건은 북한 내 김일성 유일체계가 만들어지고, 북한이 외부와 단절한 채 ‘김일성의 나라’로 향하는 결정적 분기점이 된다”고 설명했다.

3대 세습체제로 이어진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에 대해 안 교수는 “통상 정권 붕괴는 권력 내부의 쿠데타가 아니면 민중봉기로 인하지만 북한은 그 두 가지 다 가능성이 없다”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의 권력자들은 철저히 감시받으며 서로 간의 대화와 모의 자체가 불가능한 시스템이고, 주민들의 경우 당과 인민보안성, 국가보위부, 사회단체로부터 4중의 감시를 받는 데다 시민사회라는 경험 자체가 전무하다”고 덧붙였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7-01-09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