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완벽한 존재’ 위한 유전공학 이용 옳은가

‘완벽한 존재’ 위한 유전공학 이용 옳은가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07-08 17:42
업데이트 2016-07-08 17: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완벽에 대한 반론/마이클 샌델 지음/이수경 옮김/와이즈베리/200쪽/1만 2800원

이미지 확대
청각장애인 레즈비언 커플이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자신들과 같은 ‘정체성’을 가진 청각장애 아이를 낳았다. 이게 과연 온당한 일일까. 한 불임부부가 하버드대 학보에 신장과 지능, 병력 등에서 자신들의 기준을 충족하는 난자를 제공하는 여성에게 5만 달러를 주겠다는 광고를 냈다. 옳은가, 그른가.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이들을 위해 ‘두뇌를 위한 비아그라’를 만들었는데, 이를 수험생이 이용했다. 이는 잘못된 일일까.

과학기술, 특히 유전공학 분야의 발전 속도는 도덕적 이해의 확장 속도보다 훨씬 빠르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도덕적 현기증에 휘청댄다. 생체복제 기술이 특히 그렇다. 거의 신의 영역에 가까워진 난제인 탓에 학자들마저 기피하려는 경향이 역력하다. 한데 언제까지 판단을 미룰 수는 없다. 인간 복제, 근육·신장·기억력 강화 약물 복용, 줄기세포 연구 등 유전공학의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우리가 어떤 입장을 가져야 할지 분명하게 선을 그어야 할 때다. 그런 점에서 새 책 ‘완벽에 대한 반론’은 선명한 지향점을 갖고 있다. 완벽해지기 위해 유전공학을 이용하는 것은 그릇된 판단이라는 것이다.

저자가 우려하는 건 겸손과 책임의 훼손이다. 운명이 결정짓던 영역이 유전공학으로 대체되면 성공은 결국 자신의 능력에 달려 있다는 인식이 팽배해질 것이고, 재력 등에서 불리한 조건을 갖고 태어난 사람들은 무능하고 부적격한 존재로 여겨질 것이다. ‘책임’의 확장도 문제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사람들은 운보다 선택에 무게를 두게 될 터다. 그러다 보면 성공은 미덕과 능력을 가진 자만이 쓸 수 있는 왕관이며, 부자들이 부자인 것은 가난한 이들보다 자격이 더 있기 때문이라는 그릇된 가정에 빠질 위험이 있다.

저자는 유전공학 사용의 윤리에서 따져야 할 중요한 문제는 자율성과 평등권의 확보 여부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과연 그 기술을 열망해야 하는가’다. 쉽게 말해 충분히 건강한데도 기억력을 더 높이고, 운동을 더 잘하기 위해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할 필요는 없지 않느냐는 거다.

저자가 거의 유일하게 찬성하는 건 줄기세포 연구다. 인간에게 질병 정복의 희망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또 ‘배아 줄기세포’의 도덕적 지위가 반대론자들의 말처럼 생명의 첫 단계인 ‘태아’가 아닌, 인격적 특성을 전혀 갖지 않은 세포 덩어리에 불과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단 연구의 독점, 방향성 등에 엄격한 규제가 뒤따라야 한다는 전제는 달았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7-09 18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