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일의 어린이 책] “나무늘보 넌 그냥 너야” 나와 다른 남을 인정해요

[이주일의 어린이 책] “나무늘보 넌 그냥 너야” 나와 다른 남을 인정해요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9-25 16:44
업데이트 2015-09-25 2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부댕이!/제니 오필 지음/크리스 아펠란스 그림/이혜선 옮김/봄나무/32쪽/1만 1000원

소녀는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었다. 새든 토끼든 훈련받은 물개든 다 좋았다. 하지만 엄마가 반대했다. 한 달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엄마를 졸랐더니 드디어 엄마가 산책시키지 않아도 되고, 목욕시키지 않아도 되고, 먹이를 주지 않아도 되는 동물을 찾아보라고 했다.

소녀는 곧장 도서관으로 달려가 동물 백과사전을 펼쳤다. 거기서 나무늘보를 찾아냈다. 사전엔 ‘나무늘보는 하루 열여섯 시간 잠을 자고 나뭇잎을 먹고 나뭇잎에 고인 이슬을 마시고 산다. 세상에서 가장 게으른 동물’이라고 소개돼 있었다.

빠른우편으로 나무늘보가 도착했다. 소녀는 나부댕이라고 이름 지었다. 나부댕이를 밖에 있는 나무로 데려갔다. 잠만 잤다. 잠에서 잠깐 깨어났을 때 산꼭대기 올라가기, 숨바꼭질, 무술시합 등 여러 놀이를 했다. 친구 메리에게 자랑하고 싶어 메리를 나부댕이 곁으로 데려갔다. 나부댕이는 잠만 잤다. 메리가 말했다. “넌 참 안됐다. 우리 고양이는 뒷다리로 서서 춤도 추는데….” 소녀는 “우리 나부댕이도 묘기 부릴 줄 알아”라고 맞받아쳤다. 메리는 믿지 않았다.

다음날 소녀는 메리네 집 앞에 7일 뒤 훈련받은 나무늘보의 특별공연을 한다는 전단지를 붙였다. 소녀는 한 주 내내 나부댕이를 훈련시켰다. 특별공연 날이 다가왔다. 엄마, 메리, 이웃집 아주머니 세 사람이 공연을 보러 왔다. 소녀는 굴러, 말해 등 여러 주문을 했지만 나부댕이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 메리와 아주머니는 자리를 떴다. 소녀는 떠나는 사람들을 지켜보며 나부댕이 손을 잡았다. “넌 그냥 나부댕이야. 앞으로도 오래오래 너일 거야.”

상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 나가는 과정을 잔잔한 글과 서정적인 그림으로 그렸다. 나부댕이를 조련해서 같이 뛰놀고 싶었던 소녀가 나부댕이의 손을 잡고 “넌 그냥 나부댕이야”라고 말하는 모습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나와 다르다고 상대를 내 입맛에 맞게 바꾸려 한다면 자신이 오히려 힘들고 외로워진다는 걸 일깨워준다. 초등 저학년.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9-26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