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밑에서 위로 피는 꽃과 닮았다”

“시는 밑에서 위로 피는 꽃과 닮았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9-09 17:58
업데이트 2015-09-09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성복 시인, 시론집 3권 동시 출간

“‘화서’(花序)란 꽃이 줄기에 달리는 방식을 가리켜요. 성장이 제한된 ‘유한화서’는 위에서 아래로, 속에서 밖으로 피고 성장에 제한이 없는 ‘무한화서’는 밑에서 위로, 밖에서 속으로 펴요. 구체에서 추상으로, 비천한 데서 거룩한 데로 나아가는 시는 무한화서가 아닐까 해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려다 끝없이 실패하는 형식이니까요.”

이미지 확대
시인 이성복 연합뉴스
시인 이성복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등단 38년을 맞은 이성복(63) 시인이 자신의 시에 대한 모든 것을 담은 시론집 3권을 문학과지성사를 통해 냈다. ‘극지(極地)의 시’ ‘불화(不和)하는 말들’ ‘무한화서’(無限花序)로 삶과 예술, 인간과 문학에 대한 질문과 성찰로 가득하다.

시인은 9일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강단을 떠나면 강의하던 시절이 그립기도 하고 그때 무슨 얘기를 했는지 궁금하기도 할 것 같았다”며 “그동안 대학과 대학원에서 강의했던 내용을 모아 산문과 시, 아포리즘 형식으로 새롭게 구성했다”고 소개했다. 시인은 1982~2012년 계명대 불문과와 문예창작과에서 강의했다. 퇴임 후에도 3년간 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극지의 시’는 지난해 후반기와 올 초반의 강의, 대담, 수상 소감 등을 시간 순서대로 엮은 ‘산문집’이다. 책 제목은 지난해 시집 ‘래여애반다라’로 제11회 이육사 시문학상을 받았을 때 시인이 밝힌 수상 소감에서 따왔다. 시인은 당시 “시가 지향하는 자리, 시인이 머물러야 하는 자리는 더이상 물러설 수도 나아갈 수도 없는 ‘극지’”라고 말했다.

‘불화하는 말들’은 2006~2007년 시 창작 수업 내용을 시의 형식으로 다시 정리한 것이다. 서언을 포함해 128개 이야기가 실렸다. 시인은 “강의를 들었던 사람들이 강의 내용을 인터넷에 올려놨다. 그 내용을 토대로 썼다”고 말했다. ‘무한화서’는 2002년부터 올해까지 대학원 시 창작 수업 내용을 ‘아포리즘’ 형식으로 정리했다. 서언을 포함해 삶에 붙박인 여러 깨달음과 성찰, 다시 시와 문학으로 나아가는 절묘한 은유를 담은 아포리즘 471개를 담았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9-10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