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질문하고 불교가 답하다

과학이 질문하고 불교가 답하다

입력 2014-08-30 00:00
업데이트 2014-08-30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붓다의 과학 이야기/김성철 지음/참글세상/256쪽/1만 5000원

생물 선생님이 실험실을 비우면서 어느 학생에게 과제를 내주었다. 어항 속의 붕어를 자세히 관찰해 새로운 사실을 발견해 보라고 했다. 한참 뒤에 선생님이 돌아와서 무엇을 알게 됐는지 물었다. 학생이 새로운 것이 별로 없다고 대답하자 선생님이 몇 가지를 물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붕어 몸의 왼쪽과 오른쪽이 똑같지 않은가”였다. 어디 붕어뿐일까. 사람의 눈과 귀, 콧구멍이 좌우로 둘이다. 손가락과 발가락도 좌우로 똑같이 다섯이다. 그러고 보면 왜 모든 동물들의 몸은 좌우대칭일까.

신간 ‘붓다의 과학 이야기’는 이 같은 물음을 던지면서 시작된다. 종교와 과학은 대립되는 것으로 인식돼 있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종교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과학을 도구로 접근하고 연구할 수 있는 종교가 불교라는 것이 이 책의 근간이다. 따라서 붓다의 말씀은 삼라만상과 중생의 생로병사에 대한 심오한 사유와 통찰의 결과물이며, 그런 만큼 과학의 발달을 배경으로 대중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책은 붓다의 중요한 가르침을 증명하는 과학, 그중에서도 진화생물학, 뇌과학과 관련된 특정 주제 가운데 쉽지만 깊은 깨달음을 주는 과학 이야기 47가지를 모았다. 저자는 우리 몸과 마음의 비밀에 대해 직설적인 질문을 던지고 붓다의 말씀을 빌려 명쾌하고 심오한 답을 제시한다. 예컨대 이목구비가 얼굴에 몰려 있는 까닭은 ‘우리들 인간의 몸에 저도 모르게 각인된 탐욕의 동물성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탐욕이란 ‘먹고살고, 살아남아 후손을 남기는’ 본성에 충실함을 뜻한다. 과학적 의문에서 싹튼 화제가 자연스럽게 불교 이야기로 옮겨가는 전개 방식이 흥미롭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4-08-30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