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심 선택한 평범한 이들의 용기

양심 선택한 평범한 이들의 용기

입력 2014-03-08 00:00
업데이트 2014-03-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심을 보았다/이얼 프레스 지음/이경식 옮김/흐름출판/368쪽/1만 6000원

어떤 사회나 조직에서 통념처럼 흐르고 추앙되는 가치나 목적에 ‘아니오’라 말하며 맞서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세상은 양심에 따라 제 목소리를 내고 희생되는 사람들을 영웅이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일상에서 양심을 지켜 살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그렇다면 요즘 시대에 양심은 아주 특별한 사람들만이 실천할 수 있는 지난한 가치일까.

이미지 확대
‘양심을 보았다’는 지금까지의 출판물이며 영화 같은 문화예술 작품과는 정반대 시각에서 양심을 해석한 책이다. 어떤 위대한 신념에 따라 전통과 권위에 도전하는 반항적 인물이 아니라 본능처럼 양심을 따른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생각들을 에세이처럼 풀어낸다. 지난 100년간 각기 다른 나라에서 생겨난 4개의 실제 사건을 소개하며 전하는 평범한 사람들의 아름다운 선택이 흥미롭고 신선하게 다가온다.

1938년 국경을 넘으려는 유대인 소년을 도운 스위스의 파울 그뤼닝거 경찰서장 이야기는 대표적 사례이다. ‘난민을 받지 말라’는 당국의 지시를 어기고 유대인 소년의 손을 잡아준 그뤼닝거 서장은 결국 경찰서장 직위를 박탈당하고 초라한 생을 살아야 했다. 그의 행동은 거창한 신념에 따른 양심의 선택이 아니었음을 책은 추적해 낸다. 그뤼닝거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차라리 죽여달라고 매달리고 또 차라리 자살을 하고 말겠다고 울부짖는 광경을 반복해서 목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결국에는 더 참지 못하고 저처럼 행동했을 것입니다.”

손실 위험이 큰 금융상품을 고객에게 팔라는 지시를 거부해 해고된 전 스탠퍼드 그룹 투자자문역의 실화도 같은 맥락에서 잔잔한 울림을 전한다. 그 역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모르겠어요. 그렇게 해야 할 것 같아요. 옳은 일이니까요.” 저자는 네 가지 실화를 하나의 틀에서 이렇게 꿰어낸다. “양심이라는 가장 보편적인 기준에 입각해서 제가 속한 집단이 지향하는 근본적인 가치를 가장 평범하게 고수했던 것일 뿐.” 책의 묘미는 단순한 ‘양심 고수자’ 소개에 머물지 않는다는 데 있다. 실제로 저자는 그 메시지를 이렇게 각인시킨다. “언제나 용기 있는 선택을 하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그러한 선택을 한 이들에게 관심과 격려와 지지를 보내는 것을 잊지 말자”고.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03-08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