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의 차 한잔] ‘혼자 산다는 것에 대하여’ 펴낸 노명우 교수

[저자와의 차 한잔] ‘혼자 산다는 것에 대하여’ 펴낸 노명우 교수

입력 2013-10-12 00:00
업데이트 2013-10-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돌이킬 수 없는 ‘1인용 식탁’ 시대… 따로 또 같이 살아야 고독사 막는다

“혼자 사는 사람은 우리도 모르게 전 연령대에서 소리 소문 없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지 그들이 조용히 살고 있기에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미지 확대
노명우 아주대 교수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노명우 아주대 교수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혼자 산다는 것에 대하여’를 펴낸 노명우(47·사회학) 아주대 교수는 혼자 사는 사람은 핵가족으로 진입하지 못한 사람(미혼)이나 핵가족이 해체된 사람(이혼 또는 사별)뿐만 아니라 기러기 아빠 등 핵가족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나타나는 등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다고 말한다.

“1인 가구의 증가에 대해 경계와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여성의 지위 향상, 개인의 부상, 도시 성장, 통신기술의 발달, 수명 연장 등 1인 가구 증가의 원인이 되는 사회적 변화들이 역진(逆進)될 가능성이 별로 없음을 직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혼자 산다’는 변화는 이미 시작됐고 우리가 그 변화를 좋아하든 걱정하든 상관없이 현재와 미래의 문제라는 것이다.

통계청 조사를 보면 우리 사회의 1인 가구 비율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30여년 전인 1980년 1인 가구의 비율은 전체 인구에서 불과 4.8%에 지나지 않았으나 2012년에는 25.3%로 가구원수별 구성 비율이 가장 높다. 2인 가구는 25.2%, 3인 가구는 21.3%, 4인 가구는 20.9%, 5인 이상 가구는 7.2%에 불과하다. 2035년에는 1인 가구의 비율이 34.3%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미혼인 저자는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어울릴 가족 구성원이 없기 때문에 친구들을 사귀기 위해 더 사교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젊은이든 중년이든 노인이든 싱글은 직업 외 취미활동에 투자를 많이 해야 합니다. 거기서 인간관계의 폭을 넓히고 깊이를 심화해야 본인에게 득이 되니까요.” 가족 속에 있는 사람들은 가정 중심성 때문에 사회적 교제의 범위가 직장과 가정으로 양분되지만 혼자 사는 사람은 자기 보호를 위해서라도 이질적인 집단의 사람들과의 교류가 필수적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1인 가구의 문제는 롤 모델이 없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교육은 항상 가정이 중심에 있어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 등이 분명한데 이들은 자신이 어떤 인물이 돼야 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싱글이든 아니든 혼자서 해야만 하는 것과 혼자서는 할 수 없는 것,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우리의 삶은 만족스러울 것입니다.” “혼자서 해야만 하는 게 뭐냐”는 물음에 “자신의 삶을 성찰하거나 상처 등을 치유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남이 그것들을 대신해 줄 수는 없다. 그런 것들이 혼자서 해야만 하는 것들이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현재 스웨덴의 1인 가구는 전체 인구 중 47%로 세계에서 가장 높습니다. 싱글 비율이 높지만 그들은 고립되어 있거나 폐쇄적이지 않고 평균적인 사교 활동 경향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 개인의 복지 문제에서 가족의 의존도를 감소시키는 정책을 도입한 것이 결정적이었다고 한다. 개인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갖췄다는 것이다.

“한국 사회는 이대로 가면 무연사(無緣死)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일본처럼 될 겁니다. 1인 가구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 그런 문제가 사회적 병폐가 되지 않는 스웨덴과 일본의 중간쯤에는 위치해야 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유상덕 선임기자 youni@seoul.co.kr

2013-10-12 2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