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주의’ 한국 불교, 기독교 실용주의 배워라

‘신비주의’ 한국 불교, 기독교 실용주의 배워라

입력 2012-05-12 00:00
업데이트 2012-05-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게 도무지 뭣 하자는 소린지 모르겠고】 김영명 지음 개마고원 펴냄

흔히 한국 불교는 어렵다고 한다. 기초 교리며 깨달음을 얻는 과정의 고난, 그리고 득도의 경지…. 알 듯 말 듯 한, 아니 쉽사리 손에 잡히지 않는 이론과 실천의 연속임에도 ‘한국 불교는 이것이다.’라는 명쾌한 안내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신 그 길을 묻는 이들에게는 ‘근기가 약하다.’ 혹은 ‘공부가 부족하다.’라는 질책과 함께 그저 끊임없이 수행하라는 다그침만 무성하다. 그래서 많은 이들은 그 어려운 공부 대신 염불과 기도 위주의 기복 신앙쯤에 안주하기 일쑤다.

‘이게 도무지 뭣 하자는 소린지 모르겠고’(이뭣고·김영명 지음, 개마고원 펴냄)는 바로 그 근본적인 의문과 실상을 꼬집은 책이다. 저자는 서울대와 뉴욕주립대에서 공부한 정치학자. 한림대 교수이면서 불교를 접한 지 4년쯤 되는 초보 불자라 할 수 있다. “전문 분야에 대해 문외한인 지식인이 그 전문 분야를 처음 접하면서 자기가 가진 지식을 통해 품을 수 있는 여러 의문을 제기하고 그 대답을 시도한 것”이라는 겸양의 의도와는 달리 한국 불교의 곳곳을 쑤셔 풀어낸 모순과 의문점들에서 녹록지 않은 내공이 읽힌다.

‘수행 참선에만 정진하라는데 그러면 누구나 깨달음을 얻고 보살이 될 수 있는 것일까.’, ‘늘상 무소유를 강조하면서 큰스님이 입적하면 왜 국장(國葬) 뺨치는 다비식을 여는 걸까.’, ‘본디 나는 없다고 하면서 참나를 찾으라고 하는데 그 참나는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등…. 저자는 결국 앞뒤가 맞지 않아 보이는 현상과 가르침의 바탕에 애매한 교리 해설이며 이해하기 힘든 한자어투성이, 선뜻 다가갈 수 없는 과도한 신비주의가 있다고 말한다. ‘염세적인 종교’며 ‘그들만의 골방 종교’라는 비판도 그런 연유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거듭 한국 불교의 교리 대중화를 제안한다. 예를 들어 어려운 ‘돈오’라는 용어를 쓸 게 아니라 ‘번개 깨달음’이라 부르고 ‘점수’를 ‘쌓아 깨달음’ 식으로 쉽게 풀어 쓰자는 말이다. 뜻 모를 문자가 아닌 중생의 언어로 분명하게 이야기해 달라는 주문이다. 여기에 얹어 불교 역시 대중 종교인 이상 위로와 고통 해소 측면에서 기독교의 적극성과 실용주의를 배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말로만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한다)을 외칠 게 아니라 실질적인 중생 구제의 방편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불교와 인연을 맺은 후 ‘법구경’과 ‘수타니파타’를 읽을 때마다, 고즈넉한 사찰 경내를 거닐 때마다, 또 소박한 명상에 잠길 때마다 어디서도 구하지 못한 차분함과 평온을 경험했다.” 불교를 매력적인 종교로 평가한 저자는 결국 “지금처럼 법 공양으로만 뿌듯해한다면 중생과 불리된 ‘그들만의 불교’로 전락할 것”이라 매듭짓는다. 1만 50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5-12 1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