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국 일본의 비밀, 풍수에 있다고?

최강국 일본의 비밀, 풍수에 있다고?

입력 2010-08-28 00:00
업데이트 2010-08-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 풍수, 일본을 논하다】김두규 지음 드림넷미디어 펴냄

사람은 산천(山川)을 닮는다. 따라서 산천의 차이는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의 삶의 양식은 물론, 한 나라의 흥망성쇠까지 결정짓는다. 사자(死者)가 눕게 되는 음택(陰宅) 또한 내용은 다소 달라도 근본적인 면에서는 양택(陽宅)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이 기본적인 ‘풍수’(風水)의 논리다.

지금까지 풍수서는 우리 땅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조선 풍수, 일본을 논하다’(김두규 지음, 드림넷미디어 펴냄)는 시선을 일본까지 확장했다. 저자는 그 이유에 대해 “일본의 풍수는 우리와 처음부터 전혀 다른 길을 걷고 있음을 보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바꿔 말해 일본의 풍수를 알고, 그것을 통해 세계 최강국 중 하나로 성장한 일본을 살피자는 뜻이다.

이 대목에서 풍수를 단순한 담론, 혹은 미신의 범주에 가두려는 우리의 인식에 대한 서운함도 읽힌다. 저자는 “고려, 조선 등 국가적 차원에서 풍수를 수용하려 했던 흔적은 있었지만, 일회적이거나 개인적인 차원에 머물렀을 뿐 강국 달성의 노력은 더 이상 진전되지 않았다.”고 통박한다.

반면 일본은 개인의 정원부터 왕실 가문의 음택에 이르기까지 풍수를 성공적으로 수용하거나 변용했다. 이 덕에 앞으로도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누리게 될 것이란 게 저자의 판단이다.

저자가 일본의 풍수를 ‘풍수동점’(風水東漸)이라 단언한 것도 그런 까닭이다. 인도에서 발원한 불교가 동쪽으로 전파돼 일본에서 완성됐다는 일본인의 주장, ‘불법동점’(佛法東漸)을 차용한 표현으로, 풍수 또한 중국에서 발원해 백제를 통해 유입되긴 했으나 꽃을 피운 곳은 일본이란 얘기다.

일본의 산천은 우리와 확연히 다르다. 당연히 일본인의 풍수에 대한 대응 양식 또한 우리와 다르다. 저자는 일본이 주장하는 ‘만세일계’(萬世一系), 즉 ‘한 천황가문이 대대로 일본을 통치한다.’는 것에서 논리를 풀어나간다. 세계 역사상 전례를 찾기 어려운 ‘만세일계’가 이어지고 있는 이면에는 일본의 산수와 풍토가 많은 영향을 미쳤을 거라는 추론에서다.

책은 이어 조선 풍수의 시각으로 일본인의 국가관, 세계관이 고스란히 투영된 정원과 왕릉 등을 샅샅이 훑는다. 예전 일본의 도읍지였던 후지와라쿄, 헤이조큐, 교토 등 고도(古都)의 풍수 또한 저자의 손에서 재해석됐다.

저자가 동아시아 최고의 길지(吉地)로 꼽은 곳은 교토의 메이지(明治) 왕릉. 거대한 용이 강을 건너는 ‘황룡도강형’으로, 일본을 넘어 태평양의 큰 세계로 비상하는 기세다.

저자는 “이와 같은 (일본인의)풍수관이 계속되는 한 만세일계와 아시아를 넘어선 강국으로서의 일본 또한 계속될 것”이라 주장한다. 1만 5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0-08-28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