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영화에 비친 중국의 현대

상하이 영화에 비친 중국의 현대

입력 2010-04-10 00:00
업데이트 2010-04-10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인뿐만이 아니다. 서양 사람들에게도 중국 상하이에 대한 향수가 있는 것 같다. ‘인디아나 존스2-마궁의 사원’(1984)에서 존스 박사가 영화 초반에 누르하치의 유골을 두고 액션을 펼치는 도시가 바로 상하이다. ‘미이라3-황제의 무덤’(1998)에서 주인공 일행이 모험을 벌이는 주요 장소도 상하이다.

1930~40년대 상하이는 서양인들에게 동양에서 가장 번성한 도시였고, 동양의 파리이자 모험가들의 낙원으로 여겨졌다. 아편전쟁 뒤 영국, 프랑스의 조계지가 세워지며 오랫동안 서양에 대한 중국의 대외 창구 노릇을 했던 상하이는 그러나, 1949년 중국의 공산화 이후 동양 모더니즘의 상징이자 세계적인 국제도시로서의 명성을 홍콩에게 넘겨주고 만다.

상하이가 옛 영화를 찾은 것은 199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푸둥 지구 개발로 뒤늦게 개혁·개방에 뛰어든 상하이는 불과 10여년 만에 중국 문화·경제의 중심지이자 최고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저력을 과시했다. 이제 상하이는 베이징올림픽의 3.5배에 달하는 경제효과가 예상되는 사상 최대 규모의 세계박람회를 다음달부터 6개월 동안 대대적으로 펼쳐낼 예정이다.

임춘성 목포대 중어중문학과 교수와 곽수경 동아대 중국학 전공 강사 등 7명은 할리우드 영화나 홍콩 영화에 견줘 생소한 개념인 상하이 영화를 통해 오늘날의 중국을 진단한다. ‘상하이 영화와 상하이인의 정체성’(산지니 펴냄)에서 20세기 상하이 영화 가운데 상하이 배경의 141편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상하이의 과거와 현재가 어떻게 그려지고 변해왔는지, 상하이인의 정체성은 어떤 것인지 조명한다.

저자들은 중국이 급부상하고 있는 21세기에 상하이를 주목해야 하는 까닭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하이는 중국 근현대사의 진행과정을 압축적으로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이와 상하이인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은 근현대 중국의 핵심을 이해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중국 영화는 상하이로 인해 입지를 확보하고 영역을 넓힐 수 있었고, 상하이는 영화로 인해 근현대화를 가속화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상하이 영화는 상하이, 나아가 중국 근현대화의 요체다.” 2만 5000원.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4-10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