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청부업 ‘할머니 킬러’… 상실을 통해 허무를 넘다 [공연리뷰]

살인청부업 ‘할머니 킬러’… 상실을 통해 허무를 넘다 [공연리뷰]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3-17 19:30
수정 2024-03-18 0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뮤지컬 ‘파과’

구병모 소설 11년 만에 ‘재탄생’
다양한 장치·액션, 볼거리 선사
뇌리 각인될 ‘넘버’ 없어 아쉬워
이미지 확대
국내 창작 뮤지컬 ‘파과’에서 65세 노년의 킬러 조각을 연기한 뮤지컬 배우 구원영의 캐릭터 컷. 페이지1 제공
국내 창작 뮤지컬 ‘파과’에서 65세 노년의 킬러 조각을 연기한 뮤지컬 배우 구원영의 캐릭터 컷.
페이지1 제공
“지킬 것을 자꾸 만들수록 인생은 힘들어진다”던 사람이 끝에 가서는 “지금이야말로 주어진 모든 상실을 살아야 할 때”라고 말한다. 두 문장을 가로지르는 인식의 변화는 결코 가볍지 않다. 그간의 모든 뼈아픈 상실을 온몸으로 마주한 뒤 나오는 ‘허무의 극복’이라서다. 지난 15일 초연의 막을 올린 국내 창작 뮤지컬 ‘파과’ 이야기다.

2013년 출간됐던 구병모(48) 작가의 동명 소설이 11년 만에 뮤지컬로 재탄생했다. 65세 ‘할머니 킬러’ 조각의 이야기다. 평생 살인청부업자로 살아온 조각은 이제 몸도 마음도 예전 같지 않다. 관절은 삐걱거리고 숨은 금세 가빠진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이런 게 아니다. 더이상 냉철하지 않은 마음 때문에 조각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다. 지키고 싶은 존재가 자꾸만 생겨나는데 누군가의 생명을 앗는 게 직업인 킬러에게 이보다 난감한 상황도 없다.

투우는 그런 조각을 쫓는 인물이다. 20년 전 조각은 투우의 아버지를 죽이고는 “잊어버려”라는 말 한마디를 남기고 홀연히 사라졌다. 그러나 투우가 조각을 만나고자 하는 이유가 단순히 무협지의 클리셰처럼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서’만은 아니다. 투우의 아버지를 죽이고자 그의 저택에 가정부로 잠입했던 조각은 알약을 삼키지 못하는 투우를 위해 정성스럽게 약을 갈아서 먹여 줬던 적이 있다. 여기서 투우는 조각에게 알 수 없는 온기를 느끼기도 한다. 이 모순적인 마음의 정체를 알기 위해서라도 투우는 조각을 반드시 마주해야 한다.

이야기의 분위기는 한없이 차갑고 무겁다. 하지만 뮤지컬 1부에서 넘버(노래)의 구성이 꽤 발랄한 구석이 있어 기묘한 느낌을 준다. 특히 살인청부업을 소재로 하는 만큼 액션에 공을 들인 것으로 보인다. 조각을 연기한 뮤지컬 배우 구원영(45)은 한 인터뷰에서 “뮤지컬은 영화처럼 장면을 편집할 수도 없어서 걸음걸이와 동작 하나까지도 신경 쓰고 있다”고 했다. 소설과는 달리 라이브로 무대 위에서 관객에게 볼거리를 선사해야 하는 뮤지컬 기획의 고충이 전해지는 부분이다.

조각이라는 인물의 서사를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어린 조각과 노년의 조각이 한 무대에 겹쳐서 등장한다. 이를 확실히 구분하기 위해 조명 등 다양한 장치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데 관객으로서도 이를 헷갈리지 않고 오히려 조각의 내면에 더욱 집중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성공적이었던 연출로 평가할 수 있겠다.

16일 공연에서 어린 조각을 연기한 뮤지컬 배우 이재림(23)은 폭발적인 성량을 뽐내며 고난도의 넘버를 안정적으로 소화했다. 뮤지컬 중간중간 개입하는 내레이션은 호불호가 갈리는 연출이다. 원작을 잘 모르는 관객에게 이야기의 흐름을 전달하는 장치로는 그리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뮤지컬을 관람할 관객은 꼭 원작을 읽고 오길 추천한다. 뮤지컬이 끝나고도 뇌리에 각인될 만한 인상적인 넘버가 없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공연은 서울 종로구 홍익대대학로아트센터에서 오는 5월 26일까지.
2024-03-1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