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장·놀이터 속 ‘소음 폭탄’… 폭발 막는 질주에 조마조마

경기장·놀이터 속 ‘소음 폭탄’… 폭발 막는 질주에 조마조마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11-14 19:58
업데이트 2022-11-15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데시벨’ 내일 개봉

이미지 확대
영화 ‘데시벨’은 폭탄 테러를 막기 위한 전 해군 부함장 도영(김래원)의 고군분투를 그렸다. 마인드마크 제공
영화 ‘데시벨’은 폭탄 테러를 막기 위한 전 해군 부함장 도영(김래원)의 고군분투를 그렸다.
마인드마크 제공
 강연을 마치고 집으로 향하는 전직 해군 부함장 강도영(김래원)에게 전화가 걸려온다. 1년 전 있었던 사고에서 함께 생존했던 부하의 집을 자신이 폭파했다고 밝힌 상대방은 다음 표적으로 축구 경기장을 지목한다. 그러면서 ‘소음이 커지면 폭탄이 터진다‘고 알려준다. 폭발을 막기 위해 도영은 도심 한복판을 질주하고, 소음 반응 폭탄을 만든 설계자(이종석)는 도영을 조롱하듯 다음 폭발을 잇달아 예고한다.

 16일 개봉하는 영화 ‘데시벨’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소음 반응 폭탄이다. 소리 크기가 일정 이상 넘어가면 폭발까지 남은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특히 폭탄을 설치한 장소들이 경기장, 놀이터, 워터파크 등 소음을 통제하기 어려운 도심 곳곳이어서, 폭탄을 막으러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도영을 지켜보는 관객은 조마조마할 수밖에 없다. 폭탄이 설치된 장소 모두가 일상생활과 연관된 곳이라 쉽게 감정 이입이 돼서다. 영화는 실제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응원의 소리를 비롯해 놀이터 근처 각종 소음 등을 폭발과 교차해 보여 주며 손에 땀을 쥐게 한다.

 황인호 감독은 기자간담회에서 “폭탄 관련 영화 대본을 읽다가 어렸을 때 갔던 수영장과 그곳에서 들었던 호각 소리를 떠올렸고, 소리 반응 폭탄을 고안했다”면서 “주인공이 소리를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이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어쩔 수 없이 1년 전 사고를 상기하도록 하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폭탄 테러를 두고 벌이는 쫓고 쫓기는 싸움을 보여 주면서 영화 후반으로 갈수록 1년 전의 숨겨진 이야기도 서서히 드러난다. 설계자가 폭탄을 왜 설치하게 됐는지, 그리고 왜 도영에게 폭탄을 제거하라고 지시하는지도 밝혀진다. 어쩔 수 없는 선택 상황에 놓인 도영을 통해 두 사건을 이었다.

 극을 끌고 가는 배우 김래원과 사연 있는 설계자를 맡은 배우 이종석의 연기 대결도 볼거리다. 김래원은 선 굵은 연기로 묵직하게 중심을 잡고, 그에 비해 분량은 적지만 이종석은 밉지 않은 악역을 잘 소화하며 극의 긴장감을 높인다. 이종석은 기자간담회에서 “마냥 악역이 아니라 저변에 슬픔이 깔린 캐릭터여서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궁리를 많이 했다”고 했다.

 다만 폭탄 테러 뒤에 숨겨진 사건이 다소 작위적이라는 느낌을 피하기 어렵다. 극단적인 사건을 겪은 이들의 성격은 변하게 마련이지만, 이 정도는 너무 과한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조연으로 나오는 정상훈과 박병은, 조달환, 차은우 등의 연기 자체가 칭찬할 만하지만 극 중 인물의 역할이 워낙 평면적이어서 동감하기 어렵다. 다만 독특한 소재로 긴장감과 함께 숨겨진 진실까지 치고 가는 과정만 놓고 볼 때에는, 킬링타임 영화로 가볍게 즐기기에 손색 없다. 110분. 12세 관람가.
김기중 기자
2022-11-15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